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경제활력대책회의'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17년 적자부채 추가 발행 논란 등을 폭로한 신재민 전 사무관에 대한 고발 취하 여부에 대해 “방침이 정해진 것은 없지만 개인적으로 깊이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활력대책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신 전 사무관의 건강이 확실히 돌아오는 것이 1차 관심이며 이후에 (고발 취하 여부를) 숙고하겠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지난 3일에 이어 8일에도 구윤철 2차관은 신 전 사무관이 입원한 병원을 찾았지만 신 전 사무관이나 가족을 만나지는 못했다.
지난해 취업자 수 증가 폭이 9만7천명에 그친 것과 관련해, 홍 부총리는 “경제를 책임지는 입장에서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고용 부진의 원인으로는 생산가능인구(15~64살)가 감소하는데다 자동차·조선 등 주력산업의 구조조정이 진행됐다는 점을 꼽았다. 홍 부총리는 또 “고용을 견인해 온 서비스업 고용 증가폭도 축소되는 등 전반적으로 양적 측면에서 미흡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올해 취업자 수 증가폭 15만명을 달성하기 위해 △민간 △서비스산업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홍 부총리는 “민간이 일자리 창출의 주역이고 민간투자가 일자리 확대의 원천인 만큼 전방위적 경제 활력 제고에 역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또 내수경기의 활성화, 고용창출력이 높은 서비스산업 활성화에 주력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마지막으로 “청년과 여성, 어르신 등 취약계층의 고용상황을 개선하고 중소기업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와 고용위기산업 및 업종 지원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정부는 올해 공공기관 신규 채용 규모를 2만3284명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2만2873명)보다 411명 늘어난 수준이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