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와 친환경 소재 비닐이 적용된 삼성전자 스마트폰 포장재.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스마트폰과 가전제품 등의 포장재를 플라스틱·비닐 대신 종이와 친환경 소재로 바꾸기로 했다. 자원고갈과 플라스틱 폐기물 증가 등 환경문제 해결에 나선 것이다.
27일 삼성전자는 “올해 상반기부터 전 세계에 출시하는 휴대폰, 태블릿, 웨어러블 등 모바일 제품에 사용하는 플라스틱 용기와 일회용 비닐 포장재를 종이 또는 친환경 소재로 변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품을 거치하던 플라스틱 재질 용기를 펄프몰드와 종이로 바꾸고, 이어폰과 케이블을 감싸는 비닐류도 종이 또는 친환경 소재로 전환한다. 충전기의 경우 외관 디자인을 무광으로 바꿔, 표면보호용 비닐을 제거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일부 고가 노트북에 친환경 종이 포장재를 사용해 왔다.
삼성전자는 티브이(TV)와 냉장고, 세탁기 등 생활가전 제품의 비닐 포장재도 재생 소재와 바이오 소재 등 친환경 소재로 단계적으로 바꿀 예정이다. 재생 비닐은 폐비닐을 원료로 하며, 바이오 비닐은 전분과 사탕수수 등 바이오 소재를 원료로 사용해 화석연료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삼성전자는 종이 포장재도 친환경성을 높이기 위해 내년까지 모든 제품의 포장재와 매뉴얼에 친환경 인증인 ‘지속가능산림 인증’을 취득한 종이 원료만 사용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글로벌시에스 센터장 전경빈 전무는 “삼성전자는 제품에 의한 환경오염 최소화를 위해 자원순환 중기 목표를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제품 포장재에 플라스틱 대신 펄프몰드, 바이오 소재를 확대 적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제품의 개발·제조·사용·폐기·수리 등에 자원순환을 높이는 5가지 자원순환 방향을 채택해 환경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2020년까지 종이 포장재?인쇄물 100% 지속가능산림 인증종이 사용 △2030년까지 재생플라스틱 50만톤 사용 △2030년까지 폐제품 750만톤 회수 등을 달성할 계획이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