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가 큰 폭으로 떨어져도 실제 소비는 그만큼 감소하지 않는다고 한국은행이 밝혔다. 소비는 심리 이외에 수입 등 지표의 영향을 받지만, 소비심리는 부정적 뉴스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사진은 마트 계산대 풍경. <한겨레> 자료사진
최근 부정적 경제뉴스가 넘쳐나면서 소비자심리지수(CCSI)가 크게 악화했지만, 실제 민간소비가 크게 하락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한국은행이 밝혔다.
14일 한은은 지난해 10월~올해 1월 사이 통화정책 결정내용·배경·향후 정책방향 등을 담은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국회에 제출하면서, 참고자료 가운데 하나로 ‘소비자심리지수와 민간소비 간의 관계’를 다뤘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생활형편·경제상황·가계수입 및 지출 전망 등 경기와 관련된 판단·전망을 조사해 지수화한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과거 평균보다 경기가 좋아진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100보다 낮으면 현재 경기가 과거 평균보다 못하다고 판단하고 있음을 뜻한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소비자심리지수와 전년동기 대비 민간소비 증가율의 장기 추이를 보면 대체로 동행하는 경향이 있다”면서도 “다만, 2012년 이후에는 두 변수의 상관관계가 다소 약화했고, 특히 소비심리와 실제 소비흐름의 방향성 또는 변동폭은 일시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15년 1분기~2016년 2분기 세월호 사고와 메르스 사태가 터지면서 소비자심리지수는 하락세를 보였지만 민간소비는 개선 흐름을 나타낸 게 대표적인 사례였다. 한은은 민간소비는 소비심리 외에도 가계소득, 고용상황 등 여타 경제변수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만, 심리지수는 주가하락이나 경기둔화 우려 등 부정적 뉴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 그래픽을(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최근 흐름과 관련해서 한은은 “두 변수가 큰 흐름에서는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변동폭에서는 차이”가 난다고 밝혔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해 8월 이후 대체로 장기평균치(100)를 밑돌고 있지만, 민간소비 증가율은 대체로 2%대 중반 이상을 유지해 약간 둔화했을 뿐이란 얘기다. 한은은 “민간소비가 단기간 안에 크게 둔화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며 “정부의 이전지출 확대 및 내수활성화 정책 등은 소비의 완만한 증가 흐름을 뒷받침하겠지만, 고용상황 개선 지연과 자영업 업황 부진, 국내외 경기둔화 우려 등으로 소비심리 부진이 장기화할 경우 민간소비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 여부를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