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우리나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공공기관 등 공공부문 일자리가 4만6천개 늘어났다. 전년에 견줘 증가폭이 1.6배 커졌다. 문재인 정부가 2022년까지 공공 일자리 81만개를 확충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을 추진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전체 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9.0%)은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21.3%·2013년 기준)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17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를 보면, 공공부문 일자리는 2017년 12월 기준 241만1천개로, 전년 대비 1.9%(4만6천개) 증가했다. 전체 취업자 수의 9.0%로 한해 전보다 0.08%포인트 높아졌다. 이 통계는 공공부문 고용현황을 포괄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2017년 6월(2015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에 처음 발표됐다.
2017년 12월 기준으로 중앙정부·지방정부·사회보장기금 등 일반정부 일자리는 206만3천개, 지방자치단체 출연·출자기관을 비롯한 공기업 일자리는 34만8천개로 집계됐다. 전체 취업자 대비 일반정부와 공기업 일자리 비중은 각각 7.7%와 1.3%로 나타났다. 오이시디 회원국 평균은 공공부문(21.3%·2013년 기준), 일반정부(18.1%·2015년 기준) 모두 우리나라보다 두 배 이상 높다.
공공부문 일자리 가운데 최근 2년 이상 동일한 직무를 이어온 ‘지속 일자리’는 207만5천개로 전체 공공부문 일자리의 86%를 차지했다. 민간부문의 지속 일자리 비중이 63.2%인 점을 고려하면, 공공부문 일자리가 더 안정적임이 드러난다. 한편 이직이나 퇴직으로 대체됐거나 일자리가 새로 생겨 2017년에 신규 채용한 일자리는 33만6천개(14%)로 나타났다. 신규 채용 일자리 가운데 지방정부가 19만7천개(26.4%)로 가장 많았고, 중앙정부(8만9천개·26.4%), 비금융공기업(4만3천개·12.9%) 등이 뒤따랐다.
2017년 공공부문 일자리 평균 근속 기간은 11.4년으로 한해(11.3년) 전보다 0.1년 늘어났다. 남성(12.6년)은 제자리걸음인 반면 여성(12.6년)의 근속 기간이 0.2년 증가한 영향이다. 근속 기간 역시 민간부문 일자리(4년)와는 큰 차이를 보였다. 근속 기간별로는 3년 미만이 31.3%로 가장 많았고, 20년 이상(23.5%), 10~20년 미만(22.2%), 5~10년 미만(14.2%), 3~5년 미만(8.7%) 순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점유한 일자리가 132만7천개(55.0%)로 여성(45%·108만4천개)의 1.22배 수준이었다. 특히 공기업의 경우 남성은 66.3%, 여성은 33.7%로 나타나 성별 격차가 더 심했다. 하지만 신규 일자리(33만6천개)의 경우 여성이 53.3%를 차지해 남자(46.7%)를 앞질렀다. 그 결과 여성 일자리가 남성 일자리에 견줘 3배나 빠르게 증가하는 모양새다. 특히 정부기관의 공무원 중 남성 일자리는 7천개 감소한 반면 여성 일자리는 1만3천개 늘어났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퇴직하는 50, 60대는 대부분 남성이기에 남성 공무원 일자리가 감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이 50.0%, 교육서비스가 28.8%,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4.3%를 각각 차지했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