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면서 건축 인허가 면적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전국 건축 인허가 면적이 1억6028만5천㎡로 전년 대비 6.2%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고 12일 밝혔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건축 인허가 면적이 7164만5천㎡로 10.7% 줄었다. 지방은 8863만9천㎡로 2.3% 줄어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지난해 9·13 부동산 대책 등으로 주택 시장이 위축되면서 신규 건축에 뛰어드는 인허가 면적이 함께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용도별로는 다가구주택(6.9%)이 늘었지만, 단독주택(-14.7%), 아파트(-21.6%), 연립주택(-20.9%), 다세대주택(-27.3%)은 모두 감소했다. 상업용 건축물은 건축 허가(-6.4%), 착공(-5.3%), 준공(-0.2%) 면적이 모두 줄었다. 30층 이상 고층 건축물의 건축 허가 면적도 전년 대비 17.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9·13 대책이 발표된 뒤인 지난해 4분기만 떼놓고 보면 건축 허가 면적은 4009만2천㎡로 전년 대비 9.7%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실적보다 감소폭이 더 컸다.
반면 준공 면적은 1억5339만9천㎡로 전년보다 8.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수도권이 7238만9천㎡로 14.2% 늘었고, 지방은 8100만9천㎡로 3.8% 늘었다. 2~3년 전 부동산 시장 호황기에 분양했던 물량이 건축 기간을 지나 준공 시기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