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21일 한국은행으로 출근하던 중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정책금리 동결이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 등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5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기금 정책금리 동결 발표 직후인) 지난주 금요일 글로벌경기 전망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다소 높아졌다”며 “향후 그 추이와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우리 통화정책은 지금도 완화적이라며 아직은 기조를 바꿀 때가 아니라는 기존 의견을 유지했다.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열린 한국은행 업무보고에서 최근 경기 상황에 대해 “지난주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3개월물 금리보다 낮아지는) 장·단기 금리 역전 사태가 있기 전까지 시장은 안정적인 모습이었다”고 평가한 뒤 “예상보다 (국내) 경기둔화가 뚜렷해진다면 통화정책 기조 변화를 고려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향후 입수되는 지표를 바탕으로 대내외 여건의 변화를 면밀히 점검”한 뒤, 현재 정책금리(1.75%)를 인하하는 쪽으로 통화운용방향 변경을 검토할 수도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또 “앞으로도 통화정책은 성장세 지속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완화 기조를 유지하되,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는 거시경제 흐름과 금융안정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내 실물경제에 대해 이 총재는 “수출 둔화로 성장 흐름이 다소 완만해지는 모습”이라며 “주요국 경기 향방, 글로벌 반도체 경기 등이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연례협의에서 한국 경제성장이 중단기적으로 ‘역풍’을 맞았고 국내총생산의 0.5% 규모의 추경을 편성해야 한다고 지적한 것에 대해 “아이엠에프가 우리 경제의 하방 리스크를 좀 더 크게 보는 거 아닌가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10조원 규모 추경 편성이 논의되는 것과 관련해선 “그쯤 되면 어느 정도 성장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지난해 재정 정책이 결과적으로 확장적으로 볼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평가했다.
한편, 한국은행은 외환시장 운영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 오는 29일 시장안정조치 내역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1962년 외환시장 설립 이후 57년 만에 처음으로 외환당국이 외환시장에 개입한 내역을 국제통화기금 등에 공표하는 것으로, 이날 오후 4시 한국은행 웹사이트에 지난 6개월간의 내역을 공개할 예정이다. 공개 대상은 총매수에서 총매도를 뺀 최종 순거래 내역에 한정되며, 외환을 사고판 내용은 일일이 공개하지 않는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