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최고 연봉자는 160억1100만원을 받은 이재현 씨제이(CJ)그룹 회장이었다. 최근 대한항공 대표이사 자리에서 밀려난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지난 한해 보수 107억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보면, 이재현 회장은 지난해 미등기임원 자격으로 씨제이에서 71억8700만원, 씨제이제일제당에서 64억9700만원, 씨제이이앤엠(ENM)에서 23억2700만원을 받아 모두 160억원1100만원을 수령했다. 씨제이에서 받은 72억여원 중 상여금만 44억8700만원이었는데 씨제이 쪽은 “이 회장이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 증가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2위는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이사였다. 김 대표는 급여 17억2500만원에 상여 120억9300만원까지 모두 138억3600만원을 받았다. 전년 대비 두 배 넘게 증가한 금액이다. 엔씨소프트 쪽은 “리니지엠(M) 등 모바일 게임의 실적 호조”를 이유로 들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지난해 계열사 5곳으로부터 107억1700만원을 받아 3위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40억원 넘게 연봉이 증가했다. 공시 의무가 없는 4개 회사의 보수까지 합하면 조 회장의 연봉은 더 늘어난다. 조 회장은 최근 대한항공 사내이사에서 밀려나 퇴직금 780억여원도 받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해욱 대림그룹 회장은 지주회사 격인 대림코퍼레이션으로부터 103억600만원의 보수를 지급받아 ‘연봉 100억원’을 넘었다. 다음으로 정몽구 현대차 회장(95억8300만원), 손경식 씨제이 회장(88억7200만원), 허창수 지에스(GS) 회장(77억6500만원)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최태원 에스케이(SK) 회장은 2017년보다 40억원 늘어난 60억원의 보수를 받았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2017년 3월부터 급여를 받지 않아 이번에 공개 대상에서 제외됐다.
한편 경영에서 퇴진한 이웅렬 전 코오롱그룹 회장은 퇴직금을 포함해 지난해 455억원의 보수를 받았다. 퇴직금만 410억여원이다. 전인장 삼양식품 회장은 횡령 혐의로 구속된 상태에서 13억3573만원을 챙겨 논란이 예상된다.
송경화 기자, 산업팀 종합
freehw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