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현 씨제이(CJ)그룹 회장. 한겨레 자료사진
한국의 대기업 임원 연봉 상위 20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오너 경영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비해 일본은 20명 전원, 미국은 17명이 전문경영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기업평가사이트 시이오(CEO)스코어(대표 박주근)는 한·미·일 3개국의 시가총액 기준 100대 기업의 지난해 임원 보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상위 100명의 평균 수령액은 미국이 276억8천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일본은 46억8천만원, 한국은 41억7천만원이었다고 밝혔다.
3개국을 통틀어 연봉이 가장 많은 경영인은 미국 오라클의 로렌스 엘리슨 회장으로 1218억원에 달했다. 한국의 상위 10명의 보수를 모두 합친 것(1030억6천만원)보다도 훨씬 많은 수치다. 일본은 소프트뱅크의 로널드 피셔 부회장이 336억원으로 1위에 올랐고, 한국은 이재현 씨제이그룹 회장이 16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한국은 이재현 회장을 비롯해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와 고 조양호 전 한진그룹 회장,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손경식 씨제이 회장, 고 구본무 전 엘지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허창수 지에스그룹 회장, 최태원 에스케이그룹 회장 등 오너 일가 13명이 ‘톱 20’에 이름을 올렸다. 전문경영인은 삼성전자 권오현 회장과 김기남 부회장, 우원식 엔씨소프트 부사장 등이었다. 특히 스톡옵션 행사로 거액을 받은 신라젠의 전·현직 임원 4명이 포함됐다.
미국은 엘리슨 회장과 넷플릭스의 리드 헤스팅스 회장(10위·403억4200만원), 세일즈포스의 마크 베니오프(17위·317억4500만원) 회장을 제외하고는 모두 전문경영인이었다. 일본의 경우 상위 20명이 모두 전문경영인이었다. 특히 피셔 부회장을 포함해 무려 6명이 소프트뱅크 소속 전문경영인이었는데, 정작 오너인 손정의 회장의 연봉 순위는 66위(23억5500만원)에 그쳤다.
시이오스코어는 “이번 조사는 각국 보수 공개 기준에 따라 지난해 결산 보고서에 공시된 임원을 대상으로 했다”면서 “한국은 연 5억원 이상을 받는 임직원에 대해서만 공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