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세계경제전망에서 구매력 기준 GDP 전망
2023년 한국 4만1362달러 > 일본 4만1253달러
수출용 컨테이너가 쌓여있는 부산 항만의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2023년이 되면 한국 국민의 1인당 구매력이 일본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1일 국제통화기금(IMF) 세계경제전망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보면, 구매력평가(PPP·
Purchasing Power Parity)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이날 기준 한국이 3만7542달러로 조사 대상 194개국 가운데 32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3만9795달러로 31위로 나타났다. 구매력 기준 국내총생산은 나라마다 다른 물가 수준을 평준화해 실제 각 나라 국민의 구매력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상대적으로 물가가 낮은 저개발 국가의 국내총생산이 상향 조정되는 효과가 있다. 국제통화기금은 현재 한 단계 차이로 일본을 뒤따르는 한국의 구매력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이 4년 뒤쯤 일본을 앞지를 것으로 내다봤다. 2023년 같은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은 한국이 4만1362달러, 일본이 4만1253달러로 예측됐다. 한국이 국내총생산 관련 통계에서 일본을 앞서게 되는 것은 역대 처음이다. 국제통화기금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80년 당시 구매력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은 한국이 5084달러, 일본은 2만769달러로 격차가 4배에 달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구매력 기준이 아닌 명목 1인당 국내총생산은 일본과 한국의 격차가 벌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올해 한국의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은 3만1937달러로 세계 31위, 일본은 4만1021달러로 25위다. 2023년에는 한국이 3만8612달러, 일본은 5만2140달러로 격차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같은 기간 전체 경제의 크기도 조금 더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2019년 일본의 명목 국내총생산은 5조1760억달러로 한국(1조6570억달러)의 3.1배에 달했다. 1980년 한국 650억달러, 일본 1조1050억달러로 17배에 달했던 격차를 꾸준히 좁혀온 결과다. 그러나 국제통화기금은 2023년에는 이 격차가 3.2배로 조금 더 벌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