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 전경련 회관. 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더불어민주당이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과 정책간담회를 가졌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 이후 2년4개월 동안 고수해온 ‘전경련 보이콧’ 방침이 풀렸다는 해석이 나온다.
민주당과 한경연은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일본 수출규제 등 한국경제 현황을 주제로 정책간담회를 가졌다. 한경연은 권태신 전경련 상근부회장이 원장을 맡고 있고, 전경련 직원들이 상당수 파견 근무를 하고 있어 사실상 전경련의 사업부서 성격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정부·여당과 전경련 또는 한경연 간의 공식 대면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재인 정부는 그동안 박근혜 정부 때의 국정농단사태에 깊숙이 개입한 사실이 드러난 전경련과 한경연을 철저히 외면하는 ‘보이콧’ 방침을 고수해왔다. 여당 의원이 개별적으로 전경련 관련 행사에 참석한 적은 있었지만 정부·여당 차원의 공식만남은 없었다. 정부가 참여하는 경제단체 주관 행사나, 정부 주관 각종 행사에도 전경련은 철저히 배제됐다. 지난해 여름에도 김동연 당시 경제부총리가 재계와의 모임에 전경련을 함께 부르겠다는 방침을 밝혔으나 여당 및 청와대의 이견으로 불발됐다.
이번 간담회는 민주당의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 한경연은 “민주당 의원들이 일본의 수출규제 등 우리경제가 처한 어려움을 현장으로부터 청취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자는 취지에서 간담회를 요청했다”고 강조했다. 재계에서는 한일 경제전쟁을 계기로 문재인 정부의 전경련 보이콧이 풀리기 시작한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한경연도 “현 정부 출범 이후 민주당의 공식방문은 처음”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일본 수출규제 이후 보수 진영과 경제계에서는 일본 재계와의 채널 역할을 해온 전경련과 정부가 대화하고 협력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간담회에는 민주당에서 이원욱 원내수석부대표, 백재현·유동수·서삼석·위성곤·맹성규·김병관 의원 등 7명이 참석했다. 한경연에서는 권태신 원장, 배상근 전무 등 8명이 참석했다. 권 원장은 인사말에서 “일본의 수출 규제를 이겨내는 것도, 투자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도 모두 기업”이라며 “규제개혁과 노동개혁으로 기업 투자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햇다. 또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글로벌 공급 네트워크의 교란은 상시화할 수 있다”며 “부품소재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 대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