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1월 고용동향’ 발표
1월 취업자 2680만명으로 56만8천명 증가
2014년 8월 이후 65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
고용률(66.7%)도 1월 기준 역대 최고치
설 연휴 직전 조사로 택배 등 취업자 증가
지난해 1월 1만9천명 증가 기저효과도
경기회복 조짐에 제조업 일자리 증가 전환
“신종 코로나 경제적 여파와 인구 감소로
향후 고용 여건 불확실성 커질 것으로 예상”
1월 취업자 2680만명으로 56만8천명 증가
2014년 8월 이후 65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
고용률(66.7%)도 1월 기준 역대 최고치
설 연휴 직전 조사로 택배 등 취업자 증가
지난해 1월 1만9천명 증가 기저효과도
경기회복 조짐에 제조업 일자리 증가 전환
“신종 코로나 경제적 여파와 인구 감소로
향후 고용 여건 불확실성 커질 것으로 예상”
1월 취업자 수가 지난해보다 56만명 늘었다. 2014년 8월(67만명) 이후 65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이다. 경기 회복의 기지개를 켜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재정일자리를 조기 집행하고, 설연휴 일정 등 요인이 겹쳐서 나타난 결과다. 그러나 이번 통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영향이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정부는 향후 고용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1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2680만명으로, 지난해보다 56만8천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에 이어 두달 연속 50만명대 증가세다. 15살 이상 고용률은 60%로 지난해보다 0.8%포인트 올랐고, 국제비교 기준인 15~64살 고용률도 66.7%로 역시 0.8%포인트 상승했다. 두 지표 모두 1월 기준으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았다.
은순현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전체적으로 정부 일자리 사업과 설연휴의 영향이 있으며, 지난해 1월 취업자 수 증가폭이 1만9천명에 그친 기저효과도 나타났다”고 말했다.
5년여 만의 ‘고용 대박’에는 복합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 먼저 정책 효과를 보면, 통상 1월은 재정일자리 사업 준비기간이어서 일자리가 많이 늘어나지 않았지만 올해는 조기집행으로 1월부터 정부가 창출한 일자리가 취업자 수에 포착됐다. 통계청은 경제활동인구조사가 진행되는 기간(매달 15일이 포함된 주)이 설연휴 직전이었던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명절 연휴 직전에 민간 소비와 물동량이 폭증해 취업자 수도 함께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경기 회복의 조짐과 함께 민간 일자리 여건도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재정일자리 사업 효과가 집중되는 보건복지·공공행정을 제외한 취업자 증가 폭이 38만9천명에 달했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도 8천명 늘어, 21개월째(2018년4월~2019년12월) 마이너스 행진에서 벗어났다.
그러나 고용 여건이 계속해서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신종 코로나가 경제에 영향을 미치기 직전에 조사된 통계 지표기 때문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최근 생산연령인구 감소폭 확대에도 불구하고 고용 회복 흐름이 견조해지는 모습은 의미가 크다”면서도 “향후 고용 여건은 최근 신종 코로나 사태의 영향으로 서비스업 등 고용에 영향을 미칠 소지가 크고, 인구 등 구조적 둔화 요인이 계속 작용할 것인 만큼 불확실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신종 코로나의 경제적 파급을 최소화하고 근복적으로는 경제활력 제고를 통한 민간 일자리 창출 능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