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5월 청와대 집무실에 설치된 ‘일자리 상황판’ 앞에서 일자리 현황을 설명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지난해 우리 경제의 ‘허리’인 40대와 50대 장년층의 비자발적 퇴직자가 49만명에 육박해 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추경호 의원(자유한국당)실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연도별 퇴직자 현황’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장년층의 비자발적 퇴직자는 48만9천명으로 나타났다. 2014년(55만2천명) 이후 5년 만에 최대치다.
연도별 퇴직자는 매년 12월 조사를 기준으로 그해에 퇴직해 연말까지 실직 상태인 사람을 집계한 수치다. 특히 통계청은 일자리를 떠나는 이유로 ‘육아’, ‘가사’, ‘휴업’, ‘명예퇴직’, ‘일거리가 없어서’ 등 11가지 문항으로 조사하는데, 이 가운데 △직장의 휴·폐업 △명예퇴직, 정리해고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 △일거리가 없어서 등 4개 항목을 선택한 경우를 ‘비자발적 퇴직’으로 분류했다.
40·50대 장년층의 비자발적 퇴직자는 2014년 55만2천명 이후 점차 감소하다가 2017년 40만6천명으로 바닥을 찍은 뒤, 2018년 45만7천명, 2019년 48만9천명으로 2년 연속 늘었다. 지난해 4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18만7천명으로 ‘직장의 휴업과 폐업’(1만8천명→2만6천명), ‘일거리가 없어서’(4만9천명→5만8천명) 등을 사유로 꼽은 이들이 많이 늘었다. 50대에서는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11만7천명→13만명), ‘명예퇴직, 정리해고’(4만6천명→5만2천명)가 늘었다. 지난해 경기 부진과 제조업의 위축 등으로 민간 일자리 여건이 위축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정부는 40대 일자리에 대한 실태조사에 기반한 맞춤형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그간 중장년층은 청년, 노년, 여성 등 일자리 소외 계층보다 정책 후순위로 밀렸던 것이 사실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경제의 중추인 40대 일자리는 정부 정책보다는 민간 경제의 성장에 따라 증가하는 게 바람직하다”면서도 “다만 최근 경기 부진과 제조업 등 주요 업종 구조조정으로 이직한 40대들이 새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직업 훈련 및 취업 지원 등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런 일자리 위축을 보완하기 정부가 힘을 쏟고 있는 재정 일자리의 효과도 갈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재정 일자리 숫자가 취업자 수에 주로 포착되는 보건·사회복지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취업자 수는 지난 1월 17만9천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월 기준으로 산업별 취업자 수를 파악할 수 있는 2013년 이후 가장 많았다. 지난해까지 정부는 동절기가 지난 3월부터 재정 일자리 사업을 시행했는데, 올해는 고령층 등 취약 계층의 소득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1월부터 재정 일자리 사업을 시행한 효과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