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후베이성 우한시 적십자병원에서 16일 방호복을 착용한 의료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의 폐 사진을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1%대로 하향 조정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세계 경제의 충격이 한국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이유에서다.
무디스는 16일(현지시각) 발표한 보고서에서 “코로나19 확산이 중국 경제 활동에 불러온 충격이 다른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의 생산과 관광업 등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0.2%포인트 낮춰 1.9%로 전망했다. 일본은 마찬가지 이유로 0.4%에서 0.3%로 0.1%포인트 낮췄다.
무디스는 코로나19의 진원지인 중국 경제가 경착륙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무디스는 올해 중국의 성장률을 5.8%로 전망했으나, 이번 보고서에서는 5.2%로 크게 낮춰 잡았다. 중국 정부는 6%대 성장률을 유지한다는 의미의 ‘바오류’를 위한 대규모 경기부양책으로 지난해 성장률을 6.1%로 지켜낸 바 있다.
무디스 쪽은 “이번 사태는 무엇보다 중국 경제에 타격을 줄 것이며 운송, 유통, 관광, 엔터테인먼트 등 소비지출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중국 경제의 비중, 세계 경제와의 상호 연계성을 고려하면 다른 국가들까지 충격이 확산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무디스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여전히 확산 중이어서 중국과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최종적인 평가를 내리기는 이르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AMRO·암로)는 2019년 연례협의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2.4%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9월 전망치(2.2%)보다 0.2%포인트 상향 조정한 것으로, 암로는 5세대 이동통신(5G) 설비에 따른 메모리 수요 반등이 한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암로는 이날 코로나19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