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이 지난해 2년 연속으로 영업적자를 냈다. 적자 폭도 2018년보다 6배 이상 확대됐다. 적자 폭이 커지면서 전기요금 개편에 대한 한전 쪽의 요구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전은 2019년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조3566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8일 공시했다. 6년 만에 적자로 돌아선 2018년 영업손실 2080억원보다 6.5배가량 더 늘어난 수피다. 매출은 29조928억원으로 2018년 60조6276억원보다 2.5% 감소했다.
한전 쪽은 전력수요가 많은 여름과 겨울 날씨가 온화해 냉난방 전력수요가 줄어듦에 따라 전기판매수익(판매량 기준)이 전년 대비 1.1% 하락한 반면, 무상할당량 축소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권 비용 급증, 설비투자에 따라 지속해서 증가하는 감가상각비·수전유지비 및 미세먼지 대책에 따른 비용 등의 증가로 영업손실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특히 온실가스 감축 계획으로 무상할당량이 2018년에 비해 18% 줄면서 온실가스 배출권 비용이 전년 530억원에서 지난해 7095억원으로 치솟았다. 또 봄철과 겨울철 미세먼지 저감대책으로 값이 싼 석탄 발전 이용률이 떨어진 것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에서 주장하듯 탈원전대책으로 원전가동률이 떨어지면서 한전 적자 폭이 늘어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원전 이용률은 70.6%로 예방정비가 마무리되면서 2018년보다 4.7%p 올랐다. 원전 이용률 상승과 국제유가 하락으로 연료비는 전년보다 9.1% 감소했다.
한전쪽은 “전력그룹사간 협력강화와 경영효율화 고강도 자구노력을 통해 실적개선과 재무건전성 강화에 만전을 다할 예정이며 아울러 지속가능한 요금체계 마련을 위해 합리적 제도 개선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