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 둘째)이 2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10조원 규모의 2차 소상공인 긴급대출 상품이 ‘연 3~4%대 금리, 1천만원 한도’로 결정됐다. 대출은 다음달 하순부터 받을 수 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기업은행, 시중은행으로 나뉘었던 긴급대출 접수창구는 6대 시중은행 창구로 일원화된다.
정부는 29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경제 중대본)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소상공인 2차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홍남기 부총리는 “코로나19로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곧 소상공인”이라며 소상공인 추가 대책을 실시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소상공인 2차 대출은 6대 시중은행이 95% 신용보증기금 보증을 받아 중신용도 기준 연 3~4%대 금리로 2년 거치, 3년 분할상환하는 방식으로 설계됐다. 1차 프로그램 수혜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1차 프로그램은 연 1.5% 금리로 최근 정부가 예비비 3158억원을 추가 투입해 총 16조4천억원 규모로 진행 중이다. 기존에 기관별로 1천만~3천만원으로 나뉘었던 대출한도는 건당 1천만원으로 통일하기로 했다. 더 많은 사람에게 혜택을 주자는 취지다.
김용범 기재부 1차관은 회의 뒤 브리핑에서 “현재까지 53만명, 17조9천억원의 신청을 받아 29만명의 소상공인에게 7조6천억원을 공급했다”며 “1차를 차질 없이 마무리하는 동시에 2차 프로그램을 조속히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5월 하순부터 2차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개시된다면 소상공인은 신한, 국민, 하나, 농협, 우리, 기업은행 지점을 방문해 대출 신청 및 접수, 대출, 보증심사 등을 한자리에서 처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