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서울 도심 하늘에 출퇴근 직장인을 태운 에어택시가 뜰 수 있을까. 정부가 도심 하늘길을 오가는 비행체를 2025년 상용화하는 로드맵을 확정했다.
4일 국토교통부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로드맵’을 제2차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확정해 발표했다. 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은 전 세계 대도시권이 인적 자원 집중으로 과밀화하면서 택시·버스 등 지상 교통의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여객 운송용 도심 비행체로 최대 4명이 탑승 가능한 소규모 교통수단으로 개발되고 있다.
국토부는 로드맵에서 2025년을 상용화 원년으로 정했다. 상용화 대상 도심 비행체는 전기 분산동력 수직이착륙기(eVTOL·electric Vertical Take Off & Landing)로 시범 운영에 투입될 1인용 시제기를 2023년까지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2024년까지 인천공항과 시흥, 안양, 양재, 서울역, 청량리, 김포공항을 잇는 실증노선을 운영한다. 실증노선 운영을 통해 운항의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한 한국형 운항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관제 시스템은 2022년 완료 목표로 연구 개발에 들어간 ‘K드론시스템’을 활용한다. 드론 운용고도(150m)를 헬기 운용고도(300~600m)로 높이는 방식이다. 정류장 개념인 도심항공교통용 터미널(Vertiport)은 대규모 자본 투입이 필요한 만큼, 민간 자본 조달을 우선적으로 추진하되 기존 빌딩 옥상에 구축돼 있는 헬리콥터 이착륙지(헬리패드)도 활용할 계획이다.
본격 상용화 시기는 2030년으로 잡았다. 상용화가 본격화 되면 서울에 도심항공교통 터미널 30곳과 300여대 가량의 도심 비행체가 운행할 것이라고 국토부는 내다봤다. 우버 등 도심항공교통에 투자하고 있는 주요기업이 예상한 운임은 인천공항에서 여의도 거리인 40㎞ 운항에 130달러 정도로, 조종사가 없는 자율비행이 실현될 경우 25달러였다. 국내는 초기 11만원 정도로 예상된다. 무인자율주행 기술이 안착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2035년 전까지는 운송 자격증이 있는 조종사가 탑승할 계획이다.
세계적인 컨설팅 그룹들은 도심항공교통 시장 규모가 2030년 151억달러(18조3900억원)에서 2040년 1조4740억달러(1795조6200억원)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미국과 독일, 중국 등 주요국의 도심 비행체 개발은 이미 완성 단계다. 독일 볼로콥터사(Volocopter)는 2011년에 시제기 개발을 완료했으며 중국 이항사(eHang)는 2012년 말에 개발에 착수해 2018년 이미 유무인 비행 횟수가 1000회를 넘었다. 2009년에 설립된 미국 조비사(Joby)는 지난 1월 일본 토요타사와 양산 계약을 완료했다. 한국에서는 현대차가 지난해 도심항공교통 사업부를 만들어 지난 1월 미래비전을 발표한 바 있다. 정부는 도심항공교통 관련 한국 기술 수준을 선진국의 70% 수준으로 보고 있다. 국토부는 “2025년까지 민간의 기체 제작 기술은 충분히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인증, 교통관리, 이착륙장 등에 대한 제도적 인프라를 정부가 지원할 필요성이 있어 로드맵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