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연구개발(R&D) 투자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선진국 평균 수준을 웃돌지만 정보통신산업과 일부 대기업에 편중돼 있어 효율성과 생산성 파급 효과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경제부가 13일 내놓은 ‘연구개발의 생산성 파급 효과 분석’ 보고서를 보면, 2004년 기준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투자 비중은 국내총생산의 2.9%로 미국(2.6%), 독일(2.5%),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2.2%)보다 높았다. 민간부문의 비중도 2003년 기준 76.1%로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67.3%)을 웃돌았다.
그러나 전체 연구개발투자에서 정보통신 등 고기술산업의 비중이 50.2%로 절반을 넘고, 서비스산업은 9.0%에 그쳤다. 설비투자에서 정보통신투자 비중은 1990년대 중반 20% 수준에서 최근 40%대로 확대됐다. 기업별로 보면, 상위 5개사의 비중이 40.4%(2004년)에 이르렀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