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보유한 미 국채 대상
9월말 이전 시스템 구축 뒤 시행
9월말 이전 시스템 구축 뒤 시행
코로나19 확산 장기화에 대비해 국내 외환부문의 안정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외화유동성 공급제도가 도입된다.
한국은행은 30일 환매조건부 외화채권 매매를 통한 외화유동성 공급 방안을 기획재정부와 함께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한은이 외국환평형기금 등 외환보유액을 활용해 은행, 보험사, 증권사 등 국내 금융회사가 보유한 외화채권을 경쟁입찰방식 환매조건부로 매입해 미 달러화 자금을 공급하는 방안이다. 한은은 이를 위해 시스템 구축 등의 후속 조처를 9월말 이전에 완료할 예정이다.
환매조건부채권(RP) 만기는 88일 이내이며 대상은 유동성과 안전성이 높은 미국 국채로 한정하되 필요할 경우 미 정부기관채 등 다른 채권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2월말 현재 국내 보험·증권사가 보유한 미 국채와 정부기관채 규모는 232억달러 수준이다.
한은은 이 제도가 도입되면 비은행 금융회사의 외화자금 수요를 외화 알피를 통해 일부 흡수함으로써 스와프 시장 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외화자금 공급과 동시에 외화채권을 매입하므로 외환보유액 규모에 변동이 없고 매입한 채권은 언제든지 처분가능해 외환보유액의 가용성도 제약을 받지 않아 대외건전성 악화 우려를 완화할 수 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한광덕 선임기자 kd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