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 장애인이 운전하는 신규 모빌리티 서비스가 SK텔레콤이 개발한 청각 장애인 운전 지원 시스템을 장착하고 서울 시내를 누빈다. 내달 1일 SUV차량 10대로 운행을 시작하는 ‘고요한 모빌리티(이하 ‘고요한 M’)’의 운전 기사 15명 전원은 청각 장애인이다. SK텔레콤 제공
청각장애인 기사 택시 ‘고요한 택시’에 이어 청각장애인 기사가 모는 운송서비스 ‘고요한 엠(M)’ 서비스가 생긴다.
에스케이텔레콤(SKT)과 사회적 기업 코액터스는 29일 온라인 간담회를 열고 모빌리티 서비스 ‘고요한 M'이 다음달 1일부터 시작된다고 밝혔다. 코액터스는 청각 장애인이 운전하는 ‘고요한 택시' 운행을 돕는 사회적 기업이다.
‘고요한 M’은 지난 5월 정부의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를 받은, 청각 장애인이 운전하는 직영 운송 서비스다. 실증특례는 서비스를 시험·검증하는 동안 규제를 잠시 면제해주는 조처다. ‘고요한 택시'는 기사들이 법인택시 회사에 소속됐으나, 코액터스는 이번 실증 특례 부여를 계기로 직접 청각 장애인을 고용해 ‘고요한 M'을 선보인다. 고요한 M은 다음달 1일 서울에서 스포츠유틸리티차량 10대로 서비스를 시작한다.
에스케이텔레콤은 청각 장애인 전용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과 티(T)케어 스마트워치를 연계해 서비스차량에 탑재, 위험상황 등 경고를 청각장애 기사 손목에 진동으로 알려준다. 위급 상황에 대비해 경찰청과 ‘긴급 SOS' 시스템도 구축해, 장애인 기사가 스마트워치의 SOS 버튼을 누르면 실시간 위치와 현장 상황이 112에 전달된다. 고객은 ‘고요한 M’ 전용 앱을 사용하거나 티(T)맵 택시를 호출할 때 ‘고요한 M’ 배차를 연계할 수 있다.
여지영 에스케이텔레콤 오픈콜라보 그룹장은 “코액터스와의 동행은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기업과 사회적 벤처와의 대표적 협업 사례”라며 “5G 시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사회안전망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본권 선임기자
starry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