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이 30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1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정부가 혁신도시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방으로 이전한 공공기관이 주도하고 지역사회·지역주민·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하는 ‘혁신도시별 10대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정부는 30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연 ‘1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경제 중대본) 회의 겸 30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공공기관 선도 혁신도시 활성화 방안을 확정했다.
홍 부총리는 “2005년 6월 시작한 153개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 작년 말 완료되고 혁신도시 인구 증가, 지방세 수입 확충, 지역인재 채용 확대 등 성과가 있었으나, 지방 이전 공공기관과 지역사회의 유기적 연계, 혁신도시 자체의 발전동력 확보는 상대적으로 미흡했다”고 활성화 방안 마련 배경을 설명했다.
세부 내용을 보면, 우선 부산에서는 용도폐지된 정부청사를 활용해 ‘부산형 청년창업허브 조성’에 나선다. 이 프로젝트는 자산관리공사 등 공공기관이 정부청사를 창업공간으로 리모델링해 시세 50~70%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대구에서는 첨단복합단지 내 유휴부지를 용도변경해 가스공사 등 공공기관, 대학, 기업이 손잡고 수소 연구 개발(R&D) 단지를 조성하는 ‘그린에너지 캠퍼스 구축(수소 R&D 단지 조성)’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광주·나주의 경우 한전 주도로 에너지 특화기업을 500개 이상 유치하고 연구 개발·특화인력 양성 지원을 통해 자생적 에너지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에너지밸리 조성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강원도 원주는 고령친화 의료용품산업을 집중 육성하는 차원에서 고령친화용품 실증·연구센터 설립, 연구 개발 지원 등의 내용을 담은 ‘실버의료기기 메카 조성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