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4차산업혁명 인력수요 3분의1이 부족”
최종학교를 마친 뒤 취업하지 못한 청년 수가 166만명(5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는 오히려 인력이 부족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11일 발표한 ‘주요국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 현황 및 전망’ 조사 결과를 보면, 2020년 현재 한국의 4차산업혁명 분야 인력 부족률은 29.4%로 나타났다. 인력 부족률이란 수요 대비 부족한 인력의 비율을 뜻한다. 5년 뒤인 2025년에도 여전히 28.3%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경연이 조사한 4차산업혁명 분야는 사물인터넷(IoT), 3디(D)프린팅, 드론, 블록체인,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인공지능, 컴퓨팅기술 등 9개 분야이며, 이번 조사는 한국 4차산업혁명 분야별 협회의 정책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뤄졌다.
인력이 부족한 주요 기술분야는 드론(55%), 3디프린팅(35%), 로봇(35%) 등으로 세 분야는 인력 부족률이 30%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5년 뒤에도 드론(75%), 로봇(55%) 분야의 인력 부족률은 현재보다 더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됐다.
한경연은 한국과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 모두 5개 주요국의 4차산업혁명 인력 경쟁력을 비교했을 때도 한국이 최하위일 것으로 내다봤다. 인력 경쟁력은 해당 업무를 수행하는 작업자가 보유한 기술 경쟁력을 뜻한다. 2020년 현재 한국의 4차산업혁명 경쟁력을 100이라고 가정할 때 △미국은 123.3 △독일 114.4 △일본 107.8 △중국 106.7 순으로 나타났고, 2025년에도 △미국 121.1 △중국 114.4 △독일 106.7 △일본 104.4 순으로 여전히 한국이 최하위일 것으로 예상했다.
설문에 응답한 협회들은 인력 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전공 개설 확대, 능력 있는 교수진 유치 등 교육인프라 확충(29.6%) △기술 스타트업 창업 및 기업 인력육성에 대한 제도적 지원 확대(22.2%) 등을 꼽았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