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재산권 무역수지가 상반기에 7억5천만달러 적자를 냈다. 지난해 상반기(-8억8천만달러)와 견줘 적자폭은 축소됐다. 18일 한국은행은 산업재산권 수지 적자폭 확대 등으로 상반기 지식재산권 무역수지가 7억5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산업재산권 적자는 17억달러로 1년 전보다 2억5천만달러 늘었다. 한은은 “대기업의 화학제품·의약품 상표권 지급액이 증가하고 게임회사의 프랜차이즈권 수출은 감소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저작권 수지는 연구개발 및 소프트웨어(SW)를 중심으로 10억4천만달러 흑자를 냈다. 엔터테인먼트와 광고 회사에서 외국의 음악이나 영상 자료를 덜 써 지급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문화예술저작권 수지는 8천만달러 흑자로, 2017년 통계 작성이후 첫 흑자로 전환했다. 한은은 “케이(K)팝보다는 드라마 수출 영향이 더 컸다”고 말했다.
지재권 적자 규모가 1년 전보다 줄어든데는 전기전자제품을 제조하는 국내 대기업의 특허 및 실용신안권 지급이 감소한 영향이 컸다. 국내 기업의 지재권 수지는 16억4천만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한은은 “코로나19로 휴대전화나 반도체 생산이 줄어 특허권료가 덜 나갔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반면 외국인투자 중소‧중견기업은 정보기술(IT)업체를 중심으로 적자(23억달러) 규모가 커졌다. 넷플릭스 등의 시청이 늘면서 외국 애플리케이션(앱) 사용이 많아져 이용료 지급이 증가한 영향이다.
산업별로는 제조업(-2억1천만달러)과 서비스업(-5억5천만달러) 모두 적자를 냈다. 세부업종별로 보면 자동차·트레일러(3억3천만달러)와 전기전자제품(1억7천만달러)만 흑자였다.
거래 국가별로는 미국(-18억5천만달러), 영국(-4억5천만달러), 일본(-2억2천만달러)에 적자를 나타냈다. 신흥국인 중국(11억9천만달러), 베트남(9억5천만달러)에는 흑자를 보였다.
한광덕 선임기자
kdh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