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21일 오전 국회 정무위에서 신상발언을 하고 있다.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당시 삼성물산 사외이사를 지냈던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활동하는 것이 이해충돌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21일 열린 정무위에서 이를 두고 여야 간에 공방이 벌어졌다.
윤 의원은 이날 신상발언에서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건과 관련해 자신도 검찰에서 강도높은 조사를 받았지만 공소장에 자신의 이름은 나오지 않는다며 억울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저는 피의자 전환도 안됐고, 기소도 되지 않았다. 제가 정말 죄를 지었다면 공소장에 피고인으로 이름이 올라와 있고, 제가 이 자리에 못 앉아있었을 것”이라며 “사외이사를 수행하면서 5년 전에 합병건에 찬성했다는 이유 하나로 오너와 유착관계라고 하면 저에게 너무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해충돌 문제를 좀 더 잘 정리한 후에 공평성을 갖고 비판해야지 저 하나를 콕 집어서 공격하면 제가 억울하다”며 “저도 의원이기 전에 사람이고, 나름 전문성으로 열심히 일하고 싶은 생각이 많은데 저를 콕 집어서 제가 하는 건 다 잘못됐다고 하면 너무 섭섭하다”고 말했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1일 오전 국회 정무위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에 대해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윤 의원 지적대로라면 여당 의원들이 동료의원을 억울하게 누명 씌운 사람들이 되는 것 같아 오해를 덜어드려야 할 것 같다”며 반박했다. 그는 삼성물산 경영진과 사외이사들이 당시 삼성물산 주식이 하나도 없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위해 삼성물산에 불이익을 준 행위를 했다는 것 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합병과 관련한 여러 불법행위에 대해 정무위에서 따져봐야 하고, 국정감사에 관련자들이 증인으로 신청돼 있다. 또 삼성물산에서 삼성증권에 자기 주주 정보를 흘린 불법행위도 따져봐야 한다”며 “삼성물산 사외이사로 계셨던 윤 의원이 이해충돌 또는 국민적 신뢰에 논란이 있을 수 있으니 역할을 회피해주는 게 맞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