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위아의 한 연구원이 18일 경기도 의왕시 현대위아 의왕연구소에서 전기차 전용 열관리시스템인 냉각수 분배·공급 통합 모듈을 살펴보고 있다. 현대위아 제공
현대위아가 전기차의 구동 부품과 배터리 부분의 열을 통합 관리하는 모듈을 개발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전기차 부품 내재화에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현대위아는 냉각수 분배·공급 통합 모듈을 국내 최초로 개발해 현대자동차에 납품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모듈은 현대차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에 탑재될 예정이다. 2023년부터 양산에 들어간다.
현대위아가 개발한 모듈은 전기차 내부의 열을 관리하는 장치다. 전기차는 배터리 온도에 따라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만큼 안전과 성능 양쪽 측면에서 열 관리 장치가 중요하다.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나 배터리 수명과도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다.
특히 현대위아는 모듈이 구동 부품과 배터리, 전장 부품의 온도를 한꺼번에 관리하도록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구동 부품과 배터리 냉각을 별도의 장치가 담당하던 기존 방식을 통합한 것이다. 이런 구성으로 부품을 최소화하고 엔진룸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했다고도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아이오닉5 등 전용 전기차 출시를 앞두고 부품 내재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외부에서 조달하던 열 관리나 공조 시스템도 앞으로는 일부 현대위아에서 대체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위아는 2025년까지 냉각 모듈에 실내 공조까지 아우를 수 있는 통합 열 관리 시스템(ITMS)을 개발하기로 했다. 현대위아 관계자는 “향후에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도 공략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