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8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온라인으로 열린 ‘2021년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지난 2019년 정부가 신규 채용한 일자리의 70%는 계약직 등 ‘비공무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일자리에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 ‘일반정부’ 부문의 일자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8.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를 보면, 일반정부(중앙·지방정부, 사회보장기금)와 공기업을 합한 ‘공공부문’ 일자리는 260만2천개로, 전년 대비 15만1천개(6.1%) 증가했다. 일반정부 일자리(222만개)가 전년보다 12만3천개(5.9%) 늘었고, 공기업 일자리(38만2천개)는 2만8천개(7.8%) 증가했다.
김진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파견직 근로자의 직접 고용, 정부의 일자리사업 증가 등이 전체적으로 공공부문 일자리 증가에 영향을 끼쳤다”고 설명했다.
전체 공공부문 가운데 정부기관 일자리는 199만7천개로, 전년 대비 10만2천개(5.4%) 늘었다. 정부기관 일자리 가운데 공무원이 점유한 일자리는 135만9천개로 68.1%를 차지했다. 공무원연금 지급 대상이 아닌 ‘비공무원’ 일자리는 63만7천개(31.9%)였다.
성별로 보면, 공무원 일자리는 남자의 비중이 58.9%로, 여자(41.1%)의 1.4배 수준이고, 비공무원 일자리는 여자의 비중(63.4%)이 남자(36.6%)의 1.7배였다.
연령별 점유율을 보면, 공무원 일자리는 40대(29.9%), 30대(29.1%), 50대(23.31%) 순으로 높았고, 비공무원 일자리는 50대(24.9%), 40대(23.8%), 60살 이상(23.5%) 순으로 높았다.
2019년 정부기관이 신규채용한 일자리는 총 25만7천개이고, 이 가운데 비공무원 일자리가 18만7천개로 72.8%를 차지했다. 나머지 7만개(27.2%)는 공무원 일자리였다.
2019년 총 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은 9.5%로, 전년보다 0.5%포인트 늘었다. 일반정부의 일자리 비중은 8.1%로 전년보다 0.4%포인트 올랐다.
공공부문 일자리 비중이 늘었지만 아직 주요국의 평균 수준보다 낮다. 이날 현재까지 집계된 2018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 소속 27개국의 일반정부 일자리 비중은 17.7%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