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기관별로 흩어진 정보를 모아 기업 등 민간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공 빅데이터 체계인 ‘케이(K)-통계시스템’을 개발한다고 1일 밝혔다.
케이-통계시스템은 중앙부처, 지방정부, 공공기관이 암호화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로드하고 분석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이다. 고객정보를 암호화된 상태에서 분석해 보안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 ‘동형암호’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류근관 통계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데이터는 자료 규모가 클수록, 서로 다른 속성이 결합할수록 가치가 커지는 재화”라면서 “최고의 보안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데이터 활용가치를 극대화하자는 것이 케이-통계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통계청은 정부 각 기관의 데이터를 연계하는 클라우드 허브를 구축해 정책 효율성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정부나 지자체가 지급하는 각종 보조금 지출 자료와 통계청의 분배 지표인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함께 분석하면 정부의 재정지출이 적절하게 쓰였는지 면밀히 파악할 수 있다. 향후 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통계청은 케이-통계시스템에 민간기업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정부의 인구 관련 통계와 통신사의 이동량 정보 등이 결합하면 기업이 새 사업에 진출할 때 시장 파악을 돕는 데이터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류근관 청장은 “기존의 빅데이터를 보유한 플랫폼 기업과 자료 접근이 어려운 신생기업 간 기울어진 운동장을 평평하게 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경제 전반에 신규 진입을 촉진해 경쟁과 혁신의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통계청은 케이-통계시스템이 본격적으로 상용화하는 데는 3년에서 5년 정도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 전에 민간의 통계 활용을 끌어올리기 위해 국가승인통계로 인증되지 않은 그림·영상·문서 같은 비정형 데이터도 민간에 제공하는 ‘시범통계’ 제도를 운영할 계획이다. 통계수요자가 통계청에 자료제공을 요청했을 때 법적 판단이 모호한 경우는 보안을 전제로 제공하는 ‘통계 샌드박스’ 제도도 도입한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