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 등 1인 미디어 창작자 상위 1%가 한 해 벌어들인 수입이 평균 6억7100만원으로 나타났다.
14일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유튜버 등) 수입금액 백분위 자료’를 보면, 2019 귀속연도 종합소득을 신고한 창작자는 2776명이다. 이들이 신고한 수입금액은 총 875억100만원으로, 1인당 평균 3152만원이다. 수입금액은 경비를 차감하기 이전 단계로, 매출액과 유사한 개념이다.
상위 10%(277명)의 수입금액은 598억8600만원으로 1인당 평균 2억1600만원이었다. 전체 수입의 68.4%를 차지했다. 상위 1%(27명)만 따지면 총 181억2500만원, 평균 6억7100만원으로 전체 21%에 달했다. 반면 하위 50%는 총 15억원을 벌어들여 평균 108만원 수준이었다.
국세청은 2019년 9월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라는 코드를 신설해 수입을 신고할 수 있도록 했다. 유튜버와 비제이(BJ·개인방송진행자) 등 홀로 영상콘텐츠를 제작해 수입을 올리는 신종 업종을 새로 만든 셈이다. 이전에는 유튜버 등 미디어 창작자는 기타 자영업자로 분류돼 이들의 정확한 수입을 파악하기 힘들었다.
양경숙 의원은 “과세코드가 신설돼 수입원에 대한 정확한 규모와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됐지만, 여전히 자진신고를 하지 않으면 수익을 파악하기 어려운 구조”라며 “자진신고를 철저하기 유도하고 ‘소득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다’는 원칙에 따라 탈세가 이뤄지지 않도록 국세청의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