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방역에 선방한 동남아 국가들로의 여행길은 열릴 수 있을까. 정부가 올해 상호 간 자가격리가 면제되는 트래블버블(비격리 여행권역)과 코로나 검사 및 백신 접종 정보를 담은 트래블패스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기내서비스 및 면세점 이용이 가능한 무착륙 관광 모델도 지방 공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3일 국토교통부는 이같은 내용의 코로나 2년차 항공산업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지난해 코로나 원년에 이뤄진 자금 지원 및 고용 유지 위주 대책과 새해 대책이 가장 다른 점은 항공 관광 관련 지원 대책이다. 우선 입국한 나라에서 자가격리가 면제되는 트래블버블(비격리 여행권역)을 추진한다. 지난해 하반기 이미 홍콩, 중국, 타이완, 베트남, 싱가포르 등 안정적인 코로나 방역이 이뤄지고 있는 동남아 국가들과 트래블버블 협의가 시작됐고, 올해 안에 실제 여행이 가능하도록 할 방침이다. 지난해 호주와 뉴질랜드가 트래블버블 협정을 맺어 양국 간 여행이 일부 이뤄지고 있고, 라트비아·리투아니아·에스토니아 발트3국도 트래블버블로 상호 관광이 가능하다.
지난해 기내식 등 기내서비스만을 이용하는 ‘무착륙 관광비행’이 인기를 끈 가운데, 현재 인천공항 출발로 한정돼 있는 무착륙 관광비행을 지방공항에서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외국 공항에서 이륙해 국내 공항 면세점 쇼핑만 한뒤 돌아가거나 국내에 입국해 공항 인근 지역만 관광한 뒤 돌아가는 방식의 ‘인바운드 국제관광비행’도 도입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향후 국가별로 입국 전 코로나 검사 음성 판정 확인서 및 백신 접종 여부 확인 등이 의무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국가별 방역 조치를 통과할 수 있는 ‘트래블패스’ 도입도 추진하기로 했다. 트래블패스가 도입되면 지정기관에서 코로나 검사를 한 뒤 음성 결과를 데이터로 저장해 해외 입국 시 별도의 검사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계획으로는 백신 접종 결과도 트래블패스에 넣어 트래블패스가 일종의 백신 여권과 유사한 기능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대비해 실무협의를 하고 있다”며 “다만 트래블버블 등 모든 관광 관련 대책은 방역이 우선되어야 하므로, 방역당국과 철저하게 준비해서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해 3조5천억원 이상의 긴급 운영자금을 지원하고 고용유지지원금 등을 지급한 데 이어 올해도 저비용항공사(LCC)의 경우 하반기까지 2천억원을 추가로 지원하기로 했다. 대형항공사(FSC)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지원은 통합 과정에서 이뤄지도록 하되, 이 과정에서 요금 인상과 항공 스케줄 중복 등 이용자 편의에 반하는 일이 없도록 할 방침이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