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케이(SK)이노베이션 이사회에서 배터리 소송 대응에 대한 질타의 목소리가 나왔다. 회사는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에스케이이노베이션은 지난 10일 이사회 감사위원회가 배터리 소송 현황을 보고 받고 검토했다고 11일 밝혔다. 에스케이이노베이션 감사위원회는 사외이사 5명 중 3명으로 구성돼 있으나, 이날은 사외이사 전원이 참석했다고 한다.
감사위원회에서는 배터리 소송에서 패착이 된 증거 인멸 행위가 도마에 올랐다. “미국 사법 절차에 미흡하게 대처한 점을 (감사위원회가) 강하게 질책했다”는 게 회사 쪽 설명이다. 앞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소송 절차가 시작된 뒤에도 에스케이이노베이션이 관련 문서를 삭제한 만큼, 엘지(LG)에너지솔루션이 주장하는 영업비밀 침해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봤다. 특히 ‘경쟁사’ ‘L사’ 등의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삭제하라는 구체적인 지시가 이뤄진 게 문제가 됐다.
감사위원회는 국제 소송 대응 체계를 재정비하고 외부 전문가를 선임해 준법 감시 체계를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재발 방지를 위한 보완책을 마련하라는 취지다. 이에 따라 회사는 미국에서 준법 분야의 외부 전문가를 채용하기로 했다.
엘지에너지솔루션과 진행 중인 협상도 거론됐다. 엘지에너지솔루션은 합의금으로 3조원 안팎을 요구하고 있으나, 두 회사는 최근까지도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에스케이이노베이션은 감사위원회가 “미국에서 배터리 사업을 지속하는 의미가 없거나 사업 경쟁력을 현격히 낮추는 수준의 요구는 수용 불가능할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고 밝혔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