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정부가 외국인 직접투자(FDI) 유치를 위해 첨단투자지구를 마련하고, 이윌공제기간 연장 등 세제 혜택도 늘릴 계획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어 대외분야 실물·금융부문 대응방향 등을 논의했다. 홍 부총리는 “외국인 투자가 전반적으로 감소 추이임에도 불구하고, 디지털·그린뉴딜 등 고부가가치 산업의 투자는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외국인 직접투자는 208억달러(신고기준)로, 2019년 233억달러에 비해 11.1% 줄었다. 업종별로는 금융보험(28%), 부동산(16%), 정보통신(8%) 등의 순으로 많았다. 또 인공지능(AI) 등 신산업 분야와 그린뉴딜 분야에서는 각각 84억2천만달러, 4억8천만달러를 기록해 전년보다 9.3%, 101.4% 증가했다.
홍 부총리는 “우리가 강점을 지닌 디지털·그린 등 첨단 산업 분야 외국인투자 유치 강화를 위해 상반기 중 ‘첨단 외국인투자 유치 로드맵’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로드맵에는 현금·입지지원, 조세감면 등 지원 수단을 묶어 기업별 맞춤형 제안을 하고, 투자할만한 국내기업을 소개하는 등의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또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 신설한 첨단투자지구에 부담금 감면, 세제 지원 등을 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최근 미국 국채금리가 오름세를 보이는 등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 대비해 ‘외환건전성 협의회’를 꾸려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다. 홍 부총리는 “글로벌 유동성 확대에 따른 인플레 소지, 미 국채금리 변동 등 최근 변화요인 등에 대해 관찰과 대응력을 더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