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과 전화면담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과 통화에서 확장적 재정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달에는 옐런 장관이 확장적 재정정책을 강조한 반면 홍남기 부총리는 4차 재난지원금에 대해 재정건전성을 강조해 대조를 보였다.
홍남기 부총리는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옐런 장관과의 통화에서 취약계층을 보호하고 경제를 신속히 복구하기 위해서는 확장적 기조의 재정·통화정책이 당분간 지속돼야 한다는 점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 이후 확대된 국가간 격차 해소를 위해, 저소득 국가의 경제회복 지원을 위한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 일반 배분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했다”고 밝혔다. 첨단산업 분야의 양국간 협력 강화도 제안했다. 홍 부총리는 “양국의 상호 정책 우선순위가 높은 디지털·그린 뉴딜, 기후변화 등에 대해 전략적 협력을 제안했다”며 “4월 미국이 주최하는 기후정상회의와 5월 한국에서 열리는 ‘녹색성장과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P4G) 서울정상회의’를 통해 양국이 글로벌 기후변화대응을 선도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옐런 장관과 인사를 나누다 보니 ‘처음 만났으나 오래된 친구처럼 친밀하다’는 뜻의 ‘일면여구(一面如舊)’라는 말이 떠올랐다”고도 했다.
반면 미국 재무부는 누리집에 짧게 홍 부총리와 회담 소식을 전하며 “한미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경제금융협력 강화를 강조했다”며 “코로나19와 기후변화에 대한 경제적 대응을 포함해 양국은 물론 다자간 협력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두 장관은 한달 전에는 상반된 모습이었다. 옐런 장관은 지난달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하는 1조9천억달러(약 2100조원)의 경기 부양책의 필요성을 줄곧 강조했다. 같은 달 25일에는 주요(G)20개국 재무장관 회의를 앞두고 재무장관들에게 편지를 보내 “바이든 행정부는 가정과 중소기업, 지역사회를 돕기 위해 또 한번의 대규모 부양책을 계획하고 있다”며 “재정당국은 역사적으로 낮은 이자율에 맞춰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주요20개국이 확장적 재정정책을 계속 유지해야 하며, 너무 빨리 지원정책을 거둬들여서는 안된다”고 권고했다. 반면 홍남기 부총리는 2월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국가재정은 화수분이 아니다”라며 “재정운영상 ‘다다익선’ 보다 ‘적재적소‘ 가치가 매우 중요하고 또 기본”이라고 밝혔다. 당시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재난지원금 보편 및 선별 동시 지원’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한 것이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