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한종희 KIST 청정신기술연구소장, 조주익 포스코 수소사업실장, 황계순 RIST 환경에너지연구소장. 포스코 제공
포스코가 수소 운송 사업을 위한 신기술 개발에 나섰다.
포스코는 18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과 수소 분야의 연구 협력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암모니아에서 수소를 대용량으로 추출하는 기술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포스코가 개발하는 기술은 수소 운송 사업과 연관이 있다. 수소를 운송하는 방법으로는 수소를 액체로 바꾸는 방식과 암모니아와 합성하는 방식 등이 있다. 에스케이(SK) E&S와 효성중공업, 두산중공업 등이 짓고 있는 액화 수소 플랜트는 이 중 전자에 해당한다. 기체 상태일 때에 비해 부피가 800분의 1로 줄어들어 운송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암모니아 합성 방식은 아직 상용화되지 않았다. 암모니아에 합성된 수소를 다시 추출하는 기술이 상용화 수준에 이르지 않은 탓이다. 포스코는 암모니아 합성 방식의 경우 기존 유통망을 활용할 수 있고 운송 과정에서 손실률이 낮아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수소 추출에 필요한 촉매제를,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은 대용량 암모니아 수소 추출 전체 공정을 상용급으로 개발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포스코는 지난 8일 호주 전력·가스 기업 오리진 에너지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도 밝혔다. 오리진 에너지가 호주 현지에서 생산한 수소를 암모니아로 합성한 뒤, 포스코그룹이 이를 국내로 들여와 수소를 추출·공급하는 방식이 될 전망이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