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정부가 ‘케이(K)주사기’로 불리는 최소잔여형(LSD)주사기 등 10개 품목을 중심으로 ‘케이-방역’ 맞춤형 수출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친환경차 핵심부품의 안전성 시험항목이 늘어나고, 충돌 안전성 평가 대상에 전기차도 추가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혁신성장 BIG3(시스템반도체·바이오헬스·미래차) 추진회의’를 열어 이같이 밝혔다. 그는 “방역물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 급증, 공급망 재편을 기회로 차별화된 수출전략이 시급하다”며 “최소잔여형 주사기 등 10개 중점 수출 품목을 선정해 신속 제품화-해외 인허가-양산체계 구축-해외수출 수요 발굴 및 마케팅 지원 등 맞춤형 집중 지원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방역물품 수출은 54억7600만달러, 수입은 49억8600만달러로 의료기기 수출이 처음으로 수입보다 많았다. 10개 중점 품목은 현재 수출 중인 마스크, 진단키드, 손소독제, 비접촉식 체온계 등을 비롯해 최소잔여형주사기, 인공호흡기, 이동식 음압병동, 워크스루(이동형 선별진료소), 혁신형 진단키트, 인공지능(AI) 영상진단 등이다. 홍 부총리는 “올해 안에 케이-방역 전용 수출바우처 30억원, 수출금융 100억원 등 자금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시험인증 전용 창구 개설, 해외 인허가 정보 제공 등 수출 지원제도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친환경차 보급 확산을 위해 안전성 요건도 강화된다. 홍 부총리는 “친환경차 보급 확대에 따라 충전 중 화재, 배터리 대규모 리콜 등이 이어지면서 안전성 문제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안전기반을 확립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안전성 제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전기차 핵심부품인 배터리 안전성 시험항목이 현재 7개에서 11개로 늘어나고, 충돌 안전성 평가 대상에 전기차도 추가된다. 친환경차 정비 인프라·인력 확대를 위해 전기차 전문정비소를 2025년까지 3300곳으로 늘리고, 수소차 검사소도 내년까지 2배 이상 확충할 계획이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