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 겸 제11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정부가 국내 농축산물 수급 상황과 유가·국제곡물가 등 수입물가 상승 등으로 3월 소비자물가가 1.5% 오르는 등 물가가 오를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달걀 추가 수입 등 물가 안정 대책을 시행할 계획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를 웃돌 가능성은 상당히 제한적이지만, 기저효과 등으로 2분기 오름폭이 일시적으로 확대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어 “주요 품목별, 분야별 안정 수단을 적극 활용해 선제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소비자물가는 1월 0.6%, 2월 1.1%, 3월 1.5% 상승률을 보인다.
구체적으로 농축수산물의 가격 안정을 위해 조류인플루엔자(AI)로 비싸진 달걀을 이달 안에 2500만개 이상을 추가 수입할 계획이다. 한파 피해가 발생한 배추는 비축물량 3천t을 탄력적으로 방출하고, 양파·대파 등은 조기출하를 독려할 계획이다. 수입 원자재와 관련해선 식용옥수수 등 일부 수입 곡물에 대해 긴급할당관세를 0%(현재 3%)로 낮춰 연말까지 적용하고, 국제 곡물 신속통관을 위해 선상검체 채취허용 등 수입절차를 개선할 계획이다. 비철금속 비축물량도 1∼3% 할인 방출할 예정이다. 가스요금 등 공공요금도 해당 기관과 협의를 거쳐 합리적 수준에서 요금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하고, 외식업계 지원을 위해 식품원료 매입자금 대출금리 인하(2.5→2.0%) 등을 추진한다.
이억원 기재부 1차관은 이날 열린 브리핑에서 “전 세계적으로 경기회복 기대감이 강화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한 경계감도 같이 커지고 있다”며 “연간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 정도는 안 될 것 같지만, 2분기에는 지난해 2분기가 굉장히 낮아 불안한 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시적인 물가상승이 과도한 기대 인플레이션으로 연결되는 것을 경계해야해 선제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제통화기금(IMF)이 전날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6%로 내놓은 데 대해 “주요(G) 20개국 가운데 올해 국내총생산(GDP)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선진국은 미국, 한국, 호주 등 3개국”이라며 “우리 경제가 가장 강하고 빠르게 회복하는 선두그룹 국가 중 하나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제통화기금은 바이든 행정부의 대규모 부양책이 교역국에 상당한 파급효과(spillovers)를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만큼 우리 수출·투자 회복세에 더욱 힘을 실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