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오일뱅크는 서울 중구 서울사무소에서 한국남동발전과 신재생에너지 사업 공동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체결식에는 송명준 현대오일뱅크 경영지원본부장(왼쪽), 배영진 한국남동발전 신사업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현대오일뱅크 제공
현대오일뱅크가 수소 발전 사업에 나선다.
현대오일뱅크는 최근 한국남동발전과 신재생에너지 사업 공동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두 회사는 합작법인을 설립해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을 함께 추진키로 했다. 현대오일뱅크는 수소를 생산해 공급하고, 한국남동발전이 발전 기술을 제공해 합작법인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발전 규모나 투자 금액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회사는 합작법인에서 생산하는 전기를 수소발전의무화제도에 따라 선정되는 의무 구매자에게 판매할 예정이다. 정부는 내년부터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에서 수소를 떼어내 수소발전의무화제도를 분리 운영키로 했다. 발전용 연료전지사업자의 안정적 판매처를 확보해준다는 취지다.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보면, 2040년까지 국내 수소연료전지 발전 용량은 현재의 약 12배 수준인 8GW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현재 한국전력 평균 단가 기준으로 7조원 규모라고 현대오일뱅크는 설명했다.
앞서 현대오일뱅크는 블루수소 생태계 구축 전략을 밝힌 바 있다. 블루수소는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해 탄소 배출량을 줄인 수소를 일컫는다. 생산 단계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아예 없는 그린수소와는 다른 개념이다. 회사는 원유 정제 부산물과 천연가스 등을 원료로 연간 10만톤의 수소를 생산하겠다는 계획이다. 그 과정에서 생성되는 탄소는 건축 자재, 드라이아이스, 비료 등에 쓰기로 했다.
한국남동발전은 2006년 국내 발전회사 중에서는 처음으로 연료전지 발전을 도입했다. 현대오일뱅크 관계자는 “정유 공장 운영으로 축적된 현대오일뱅크의 수소 제조 역량과 한국남동발전이 가지고 있는 친환경 발전 기술의 시너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