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가 20일 오전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기업공개(IPO) 관련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카카오뱅크 제공
카카오뱅크가 오는 26~27일 공모주 청약을 통해 최대 2조5천억원가량의 자금을 확보한다. 카카오뱅크는 공모자금을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 등을 위한 자본 적정성 확보와 금융기술 연구개발(R&D), 핀테크 기업 인수합병(M&A) 등에 사용할 방침이다.
카카오뱅크 윤호영 대표이사는 20일 온라인 기자간담회을 열어 다음달 6일 상장 예정인 기업공개(IPO) 계획을 밝혔다. 윤 대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만 은행업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지만 카카오뱅크는 1615만명의 고객과 1년 반만의 흑자전환 등을 통해 그 가능성을 증명했다”며 “상장 후 대규모 자본을 기반으로 더 진화한 모습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표는 “카카오뱅크는 혁신적인 기술, 강력한 플랫폼 파워, 카카오 에코시스템 등을 적극 활용해 고객들에게 새로운 금융 경험을 선사하며 은행을 넘어 금융 전반의 혁신을 이끄는 기업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카카오뱅크는 기업공개를 통해 6545만주의 신주를 발행한다. 1주당 희망 공모가는 3만3천원부터 3만9천원 사이로 최대 약 2조5526억원의 자금을 확보한다. 공모가 확정은 22일이며, 청약일은 26~27일이다. 국내 일반 청약자들은 케이비(KB)증권, 한국투자증권, 하나금융투자, 현대차증권을 통해 청약할 수 있다. 상장 예정일은 다음달 6일이다.
윤 대표는 공모를 위한 비교회사 선정 시 외국 핀테크 업체 4곳만 포함하고 국내 은행을 제외한 이유에 대해 “인터넷은행은 모바일 기반 비대면 영업이라는 굉장한 특수성이 있다. 영업이익 구조, 수익성, 플랫폼 비즈니스 등 모든 것들이 국내 상장된 다른 은행 대비 차별점이라 생각해 국내 산업을 쓰기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윤 대표는 카카오뱅크의 향후 성장 지향점으로 “가장 많은 고객이 가장 많이 찾는 일등 리테일뱅크, 일등 금융플랫폼”을 꼽고, 은행 상품과 서비스의 지속적인 디지털 혁신과 상품 경쟁력을 확대해 “고객들이 반드시 이용해야 하는 금융플랫폼으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카카오뱅크는 서비스 영역을 지금의 신용카드·주식계좌·연계대출 등에서 펀드, 보험, 자산관리 등으로 넓히고, e-커머스, 여행 등 다양한 산업과 연계된 금융상품과 서비스도 선보일 예정이다. 다음달부터 중·저신용 고객을 위한 새로운 신용대출 상품을 선보이고, 개인사업자 대출 등 다양한 대출 상품도 내놓을 예정이다. 또 대규모 모바일 트래픽을 기반으로 광고 사업 등과 같은 플랫폼 기반 사업도 모색 중이다.
공모로 조달할 자금의 사용처도 이런 미래 방향성에 맞춰져 있다고 카카오뱅크는 설명했다. 중·저신용고객 대상 대출 확대 등을 위한 자본 적정성 확보를 비롯해 우수 인력 확보 및 고객 경험 혁신, 금융 소비자 편익 증대를 위한 운영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 금융기술의 연구개발, 핀테크 기업의 인수합병, 글로벌 진출을 위한 투자에도 공모자금을 사용할 방침이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