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수 금융위원장(가운데)이 10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뱅커스클럽에서 5대 금융지주 회장들과 금융권 민생지원 및 일자리 창출 점검 간담회를 진행했다. 사진 금융위 제공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10일 5대 금융지주에 질 좋은 일자리 발굴과 가계부채의 선제적 관리를 당부했다.
은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뱅커스클럽에서 5대 금융지주 회장과 간담회를 열고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금융위가 밝혔다. 회의에는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손병환 NH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부회장과 이세훈 금융위 사무처장이 참석했다.
은 위원장은 우선 청년층이 일하고 싶어하는 ‘질 좋은 금융 일자리’ 제공을 위한 금융권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 이에 금융지주 회장들은 인공지능(AI) 개발자, 핀테크 전문인력 등 변화된 금융환경에 맞는 신규 일자리를 적극 발굴하는 것과 함께, 신성장·혁신분야, 창업·벤처분야 등에 대한 금융지원을 통해 실물경제 일자리 창출을 촉진할 계획임을 밝혔다.
두번째로, 은 위원장은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적정 수준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보다 촘촘한 감독망을 구축할 것임을 밝히며, 앞으로 가계부채가 우리 경제 및 금융회사 미래에 잠재 리스크로 작용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관리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금융지주 회장들은 실수요와 무관하거나 자산버블을 부추기는 가계대출은 없는지 점검해나가면서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증가율 목표(올해 5~6%) 내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뒷받침할 계획임을 밝혔다.
세번째로, 은 위원장은 중소·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지원 조치가 갖는 긍정적 효과와 이것이 장기화될 경우 누적될 부정적 효과를 면밀히 검토 중이며 이 과정에서 금융권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지주 회장들은 앞으로도 실물부문 금융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임을 강조하면서, 실물부문 부실이 금융부문으로 전이될 경우 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큰 만큼 충당금 적립, 상시점검 등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