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통화완화 정책이 우리나라의 수출을 늘리고 금리를 하락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의 조유정 부연구위원은 10일 ‘중국 통화정책 변화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중국의 통화정책 완화는 우리의 중국 수출을 증가시키고, 금리 하락과 주가·물가 상승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중국 인민은행은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경기 둔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선별적 유동성 공급 수단의 도입을 통해 완화적 통화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먼저 중국의 통화 완화로 위안화 가치가 절하되면 중국의 대선진국 수출이 늘어난다. 이에 따라 대중 수출에서 중간재 비중(73.2%)이 큰 우리나라의 수출도 동반증가하게 된다고 보고서는 짚었다. 반면 위안화 절하에 따른 원화가치 절상으로 우리나라 수출이 감소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의 소비와 수입 증가로 우리의 최종재 수출이 늘어나는 효과도 약하게 나타났다.
또 중국이 통화를 완화하면 투자자금이 우리나라로 유입돼 국내 금리가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금리가 내리면 기업들의 미래수익에 대한 현재가치가 높아져 세계의 투자자금이 우리 주식시장으로 유입되면서 주가도 상승한다. 반면 중국의 수요 증가로 국제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국내 기업의 비용이 늘어 물가 상승을 압박하게 된다. 조유정 부연구위원은 “한-중 금융 연계성이 심화하면서 중국의 경기변동과 투자자금 흐름 변화가 우리나라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광덕 선임기자 kdh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