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3일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카카오페이 코스피 시장 상장 기념식. 한국거래소 제공
카카오페이 ‘먹튀’ 논란 이후 상장에 나서는 기업들이 임직원의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 행사나 매각을 일정기간 제한하겠다는 확약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하고 있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보면, 다음주에 공모 예정인 자율주행 카메라 장비업체 퓨런티어는 발행주식총수의 7.4%(59만850주)에 이르는 스톡옵션 가운데 이사 3명에 부여된 21만5850주를 상장 뒤 1년까지 의무보유하겠다는 확약서를 거래소에 냈다. 이 스톡옵션 물량은 상장 즉시 행사가능하지만 1년 동안 팔지않겠다고 공시한 것이다. 다음달 상장할 예정인 신약개발업체 보로노이도 발행주식의 8.7%에 이르는 스톡옵션 116만945주 중 임원과 핵심인력에게 부여된 102만6262주는 상장 뒤 1년간 권리를 행사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거래소에 확약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스톡옵션은 부여받은지 2년만 지나면 행사할 수 있지만 책임경영 차원에서 일정기간 의무보유해줄 것을 권고했다”고 말했다.
스톡옵션의 행사시기가 아직 다가오지 않아 상장일로부터 1년 이내 나올 물량은 없다고 강조한 기업들도 많았다. 또 전력기기업체 지투파워는 행사가격(1만200원)이 희망 공모가(1만3500~1만6400원)보다 크게 낮지 않은 수준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앞서 카카오페이 임원 8명은 회사 상장 한달 만인 지난해 12월 스톡옵션으로 받은 44만여주를 한꺼번에 내다팔아 878억원의 차익을 챙겨 한탕주의 수단으로 악용했다는 여론의 질타를 받았다. 소액주주의 피해를 의식한 대선후보들도 나섰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신규상장 기업 경영진의 스톡옵션 행사 기간 제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내부자들의 매도를 일정한도로 제한하는 방안을 각각 내놨다.
한광덕 선임기자 kdh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