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온 ‘노벨경제학상’ 에드워드 프레스콧 교수
한국 온 ‘노벨경제학상’ 에드워드 프레스콧 교수
노동시간 감소·생산성 하락 징후 없어
워런 버핏 ‘미국 경제 침체론’ 정면 반박
생산성 향상 정책 펴는 한국 전망 밝아 “워런 버핏은 경기 침체(recession)의 정의를 잘 모르고, 최근 경제 이론에도 무지한 것처럼 보인다.” 2004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에드워드 프레스콧(68·사진)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 교수는 8일 “미국 경제가 침체기에 들어선 것은 절대 아니다”라며, 유명투자자 워런 버핏의 ‘미국경제 침체론’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프레스콧 교수는 이날 삼성증권 주최의 ‘제5회 글로벌 인베스터스 컨퍼런스’에서 강연뒤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2분기 동안 미국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긴 했지만 이에 앞서 지난해 2, 3분기에는 3%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다”며 “1년 동안 성장률이 3% 아래로 떨어질 때 비로소 경기 침체라고 할 수 있는데 지금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특히 프레스콧 교수는 워런 버핏 등이 주장하는 미국경제 침체론에 대해 단호한 어조로 반박했다. 그는 “워런 버핏 등 월가의 투자자들은 경기 침체의 정의나 거시 경제학의 새로운 이론은 모르는 채 경기 침체라고 말한다”며 “그들은 경기가 침체기에 들어서고 있다는 어떤 근거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언론이나 투자자들이 미국 경제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노동시간과 생산성 등 두 가지 요인을 통해 경기침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두 요인이 나빠지는 징후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자신 주장의 논거로 내세웠다. 그는 “경기 침체기는 노동시간의 감소와 생산성의 하락으로 나타난다”고 전제한 뒤, “올해 미국의 노동공급이 줄지 않았고 부시 대통령 또한 의회의 세금 인상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기에 생산성 하락요인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물가 상승 압력을 고려할 때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추가로 금리를 인하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자간담회에 앞서 열린 강연에서 프레스콧 교수는 미국의 비우량 주택담보대출(서브프라임 모기지)에 대해 색다른 해석을 내놨다. 그는 “주택이 과잉공급됐고 비우량 주택담보대출로 금융기관이 손실을 입은 것은 사실이지만, 싼 값으로 집을 사서 보유한 사람이 늘었다”며 긍정적인 면에 주목했다. 또 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때문에 발생한 손실 규모가 지난 2001년의 미국 증시 대폭락 때의 손실이나, 1997년 한국의 금융위기의 어려움에 견줘 그리 크지 않다고도 말했다. 그는 이어 “세계 금융기관이 최근의 신용위기에 과민반응을 하고 있다”며 “은행의 자금 지원이 가능한 상황이라 프레디맥 등 채권보증기관의 파산과 같은 일은 앞으로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한국과 미국의 경제 전망에 대해 정부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을 편다는 점에서 양국 경제의 미래는 밝다고 전망했다. 1990년대의 미국 경제의 성장은 적극적인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한 정보기술(IT) 분야의 혁신 때문이었는데, 한국 또한 연구개발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그러면서 “실물 분야의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데 더 노력해야 한다”는 조언을 덧붙였다. 구체적으로는 △시장 개방 △공세적인 해외 투자 △적극적인 해외 경쟁 참여 △고부가가치 산업에 종사하는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 등을 열거했다.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
워런 버핏 ‘미국 경제 침체론’ 정면 반박
생산성 향상 정책 펴는 한국 전망 밝아 “워런 버핏은 경기 침체(recession)의 정의를 잘 모르고, 최근 경제 이론에도 무지한 것처럼 보인다.” 2004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에드워드 프레스콧(68·사진)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 교수는 8일 “미국 경제가 침체기에 들어선 것은 절대 아니다”라며, 유명투자자 워런 버핏의 ‘미국경제 침체론’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프레스콧 교수는 이날 삼성증권 주최의 ‘제5회 글로벌 인베스터스 컨퍼런스’에서 강연뒤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2분기 동안 미국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긴 했지만 이에 앞서 지난해 2, 3분기에는 3%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다”며 “1년 동안 성장률이 3% 아래로 떨어질 때 비로소 경기 침체라고 할 수 있는데 지금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특히 프레스콧 교수는 워런 버핏 등이 주장하는 미국경제 침체론에 대해 단호한 어조로 반박했다. 그는 “워런 버핏 등 월가의 투자자들은 경기 침체의 정의나 거시 경제학의 새로운 이론은 모르는 채 경기 침체라고 말한다”며 “그들은 경기가 침체기에 들어서고 있다는 어떤 근거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언론이나 투자자들이 미국 경제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노동시간과 생산성 등 두 가지 요인을 통해 경기침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두 요인이 나빠지는 징후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자신 주장의 논거로 내세웠다. 그는 “경기 침체기는 노동시간의 감소와 생산성의 하락으로 나타난다”고 전제한 뒤, “올해 미국의 노동공급이 줄지 않았고 부시 대통령 또한 의회의 세금 인상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기에 생산성 하락요인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물가 상승 압력을 고려할 때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추가로 금리를 인하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자간담회에 앞서 열린 강연에서 프레스콧 교수는 미국의 비우량 주택담보대출(서브프라임 모기지)에 대해 색다른 해석을 내놨다. 그는 “주택이 과잉공급됐고 비우량 주택담보대출로 금융기관이 손실을 입은 것은 사실이지만, 싼 값으로 집을 사서 보유한 사람이 늘었다”며 긍정적인 면에 주목했다. 또 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때문에 발생한 손실 규모가 지난 2001년의 미국 증시 대폭락 때의 손실이나, 1997년 한국의 금융위기의 어려움에 견줘 그리 크지 않다고도 말했다. 그는 이어 “세계 금융기관이 최근의 신용위기에 과민반응을 하고 있다”며 “은행의 자금 지원이 가능한 상황이라 프레디맥 등 채권보증기관의 파산과 같은 일은 앞으로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한국과 미국의 경제 전망에 대해 정부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을 편다는 점에서 양국 경제의 미래는 밝다고 전망했다. 1990년대의 미국 경제의 성장은 적극적인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한 정보기술(IT) 분야의 혁신 때문이었는데, 한국 또한 연구개발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그러면서 “실물 분야의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데 더 노력해야 한다”는 조언을 덧붙였다. 구체적으로는 △시장 개방 △공세적인 해외 투자 △적극적인 해외 경쟁 참여 △고부가가치 산업에 종사하는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 등을 열거했다.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