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 판매 증가 등 우려
한 보험회사에서 1년 이상 근무하는 보험설계사는 셋 중 한명 꼴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험설계사들이 채 1년도 안다니고 보험사를 옮길 경우 판매 수수료 챙기기에 급급해 가입자들이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크다.
30일 생명보험업계와 보험소비자연맹의 자료를 보면, 2009회계연도(2009년 4월~2010년 3월)에 생보업계에서 1년 이상 한 회사에 근무하는 설계사 비율은 평균 33.3%에 불과했다. 더욱이 생보사 중에는 1년 이상 근무하는 설계사 비율이 10%대에 불과한 회사도 여러 곳 있었다.
뉴욕생명은 1년 이상 근무하는 설계사의 비율이 12.4%에 그쳤다. 이어 우리아비바생명(13.1%), 에이아이에이(AIA)생명(16.1%), 동양생명(16.4%), 케이디비(kdb)생명(19.3%) 등도 1년 이상 근무하는 설계사 비율이 20%에 미치지 못했다.
설계사의 근속기간이 짧을수록 불완전 판매 증가나 사후 관리 소홀 등으로 소비자 피해가 늘어날 수 있다. 실제로 장기근속 설계사가 드문 회사는 보험 계약의 유지율이 저조했다.
뉴욕생명의 경우 전체 보험료 중 1년 이상 유지되는 보험료의 비율이 51.6%에 불과했다. 동양생명(65.9%), 케이디비생명(67.4%) 등도 생보업계 평균(71.5%)보다 훨씬 낮았다.
반면 1년 이상 근무한 설계사의 비율이 67.5%로 업계 최고인 푸르덴셜생명은 1년 이상 유지되는 보험료의 비율도 84.7%로 역시 업계 1위를 기록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