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6년여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업 구조조정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의 결과다.
금융감독원은 19일 “올해 6월 말 현재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1.94%로 3월 말의 1.48%보다 0.46%포인트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2004년 9월 말의 2.37%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부실채권비율은 2008년 6월 말 0.70%였으나 미국발 금융위기가 터진 그해 9월 말 0.82%로 상승한 뒤 2009년 6월 말 1.51%까지 올랐다. 이후 위기 국면이 진정되면서 지난해 9월 말 1.48%, 12월 말 1.24%로 낮아졌으나 올해 3월 말부터 증가세로 돌아섰다. 6월 말 기준 부실채권 잔액은 25조5000억원으로 3월 말(18조9000억원)보다 6조6000억원 증가했다. 규모로는 2001년 9월 말 27조4000억원 이후 9년여만에 최대치다.
금감원 관계자는 “부실채권이 크게 늘어난 것은 지난 6월25일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등을 통해 기업 구조조정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부동산 피에프 등 취약 부문의 잠재부실을 조기에 적극적으로 인식한 데 기인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구조조정 대상기업 여신의 부실채권 신규 인식분(4조8000억원)을 제외할 경우 부실채권비율은 1.58%로 전분기 대비 0.1%포인트 증가에 그칠 정도로 구조조정의 영향이 컸다는 것이 금감원의 설명이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