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금융·증권

카드대출 가파른 증가…가계부채 ‘뇌관’으로

등록 2010-10-18 19:52수정 2010-10-19 09:42

신규 카드발급 건수
신규 카드발급 건수
카드발급 1년새 26% 늘어
불법 모집인도 다시 극성
집값 하락·금리 상승기엔
가계 채무상환에 ‘직격탄’
신용카드 부문이 심상치 않다. 2003년 카드대란의 여파로 주춤했던 카드사들의 공격적인 영업행태가 되살아나며, 슬금슬금 ‘덩치’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카드 발급 건수와 현금대출의 가파른 증가세다. 특히 신용 3~4등급의 중위 등급을 중심으로 카드 발급과 대출이 늘면서, 신용카드 문제가 가계부채의 새로운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카드론 등 현금대출 급증 신용판매 시장에서 ‘한계’에 부닥친 카드사들은 최근 앞다퉈 현금대출 비중을 늘리는 추세다. 그 중심에 카드론이 있다. 18일 금융감독원의 자료를 보면, 지난 8월 말 현재 카드론 잔액은 14조584억원으로 현금서비스 잔액(12조4854억원)보다 1조5000억원 이상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미 지난 1분기에 카드론(12조1294억원)이 현금서비스(12조193억원) 잔액을 앞지른 뒤,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취급액도 급증하는 추세다. 올 들어 8월까지 카드론 신규 취급액은 15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1조1000억원)보다 42% 늘었다. 같은 기간 현금서비스 신규 취급액은 53조8000억원으로 되레 2.3% 줄었다. 가맹점 수수료 인하 압박 등 신용판매 시장의 영업환경이 팍팍해지면서, 카드사들이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현금대출 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특히 현금대출 가운데서도 미사용 한도에 대해 대손충당금을 쌓아야 하는 현금서비스 대신, 별다른 규제가 없고 상환기간이 길어 상대적으로 자금운용이 편리한 카드론 비중을 늘리는 추세다.

카드사들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카드 신규발급 건수도 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의 자료를 보면, 올 2분기 신규카드 발급 건수는 300만353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37만509건)보다 26% 늘었다. 카드 발급이 늘어난다는 것은 현금서비스나 카드론 등 현금대출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뜻한다. 빚을 쉽게 낼 수 있는 만큼, 상환 능력에 대한 우려도 함께 나오는 것이다. 신용카드 불법 모집인도 다시 극성을 부리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정 미래희망연대 의원은 지난 12일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야구장 등에서 고가 경품을 내건 불법 카드모집인들이 활개를 친다며 이에 대한 감독을 요구하기도 했다.

■ 카드빚, 가계부채 뇌관될까 카드사들은 연체율이 계속 낮아지고 있다는 점을 들어 문제될 것이 없다는 태도다. 한 신용카드사 관계자는 “2003년 카드대란 때는 카드사들이 정보공유를 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연계망을 통해 부실채권 발생 여부를 세심히 관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카드론 연체율은 2008년 말 5.06%, 2009년 말 2.82%에서 올해 3월 말 2.64%, 6월 말 2.37%로 꾸준히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금리 상승이나 부동산 가격 하락 등으로 가계의 채무상환 능력이 약해질 경우, 카드사가 가장 먼저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높다. 신용대출 중심으로 운용되는 탓에 담보가 있는 은행들과는 달리 기반이 취약하기 때문이다. 특히 신용 3~4등급의 중위 등급을 중심으로 카드 관련 신용활동이 늘고 있어, 카드빚이 가계부채의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신용평가의 분석을 보면, 대출 관련 신용조회는 6등급 이하 저신용자들의 수요가 늘어난 반면 카드 관련 신용활동은 4등급 이상에서 두드러졌다.

카드·캐피털을 포함한 제2금융권 대출 역시 중위 등급을 중심으로 확장되고 있다. 2009년 8월 12.17%였던 중위 등급의 제2금융권 이용 비중은 지난 6월 말 현재 13.91%로 늘었다. 한국신용정보 쪽은 “전반적으로 신용활동이 증가하면서, 일부 과다채무자 중심의 채무 증가가 앞으로 리스크 관리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은 일단 카드사들의 과당경쟁에 제동을 걸며 리스크 관리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최근 카드사 임원들을 불러 카드 발급과 대출한도를 보수적으로 심사할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카드론이 신청부터 대출까지 사실상 현금서비스처럼 쉽게 이뤄진다는 지적이 있어 이에 대한 관리를 요구하고 있다”며 “무분별한 카드론 경쟁이 격화하면 대손충당금 적립률을 상향 조정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1.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2.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3.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4.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5.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