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만 입찰땐 부담 커
인수 참여조건 최소화 가닥
우리금융은 ‘독자생존’ 의지
재무적 투자자 모집이 관건
인수 참여조건 최소화 가닥
우리금융은 ‘독자생존’ 의지
재무적 투자자 모집이 관건
정부가 이달 말 우리금융지주 매각공고를 내기로 하면서, 10년을 끌어 온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이 본궤도에 오른다. 정부는 올해 안에 최종 입찰대상을 선정하고 내년 상반기 안에 매각을 마무리짓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매각 방식과 유효경쟁 문제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아 민영화의 종착지로 가는 길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 최소지분 4% 이상 유력 금융위원회 공적자금위원회는 오는 29일 전체회의를 열어 우리금융지주 입찰 공고를 내기로 했다. 공자위는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최소 입찰규모와 관련해, ‘4% 이상’과 ‘9% 이상’ 두 가지 안을 두고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02년 조흥은행 매각땐 비금융주력자(산업자본)의 은행 지분 소유한도를 감안해 4%로 결정했지만, ‘금융산업구조개선법’(금산법)이 개정되면서 비금융주력자 소유 한도가 9%로 높아진 상태다. 다만 최대한 많은 인수후보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참여 조건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경우 ‘4% 이상’이 유력하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환경이 달라졌더라도 이를 기계적으로 따라갈 필요는 없다”며 “여러 투자자들을 유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공개매각을 통해 예금보험공사가 갖고 있는 지분 56.97% 가운데 절반 이상(28.5%)을 팔겠다는 의지다.
■ 합병이냐 독자생존이냐 정부는 민영화 방식에 대해선 “시장에 맡기겠다”는 뜻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유력한 인수후보로 거론돼온 하나금융의 경우 최근 1대 주주인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이 보유지분 9.6%를 팔고 떠나면서 인수자금 확보에 빨간불이 켜졌다. 서울 여의도 하나대투증권 건물 매각을 추진하는 것도 인수자금 마련을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최대 주주가 이탈했다고 해서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아니다”라며 “국외 다른 기관투자자들이 투자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우리금융은 국내외 재무적투자자를 통해 정부 지분을 모두 사들여 ‘독자생존’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 포스코, 케이티, 연기금 등과 접촉면을 높이고 있다. 이와 함께 우리은행과 거래하는 법인·개인 고객까지 투자 후보군으로 끌어들이겠다는 생각이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고객들이 지분 매입에 보탬이 되겠다는 얘기를 많이 한다”며 “다른 은행과 합병하게 되면 은행의 전략이 바뀌게 될 수 있어, 고객들이 불안해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 언제 마무리 될까 정부는 일단 내년 상반기 안 매각 완료를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가장 큰 걸림돌은 ‘유효 경쟁구도’가 성립할 것인지 여부다. 하나금융 한 곳만 인수전에 뛰어들 경우, 경쟁입찰이 성립하지 않는 탓에 매각 작업에 속도를 내기 어렵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하나금융 한 곳만 등장하는 것은 정부로서도 매각 진행에 무리가 생긴다”며 “주간사들이 시장 조사를 통해 유효경쟁 체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한이 따로 정해지지 않은 탓에, 경쟁입찰 구도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매각 작업 자체가 표류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분리매각 방침이 정해진 광주은행과 경남은행 매각 역시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속도에 연동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방은행에 대해선 ‘50%+1주’의 지분 매각 또는 합병 방식을 공고할 예정이지만, 우리금융 민영화의 틀 안에서 일정을 조율하겠다는 방침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지방은행 매각과 우리금융 민영화가 투트랙으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최혜정 김수헌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