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수입비율 줄었다가
3분기부터 다시 오름세로
3분기부터 다시 오름세로
신용카드사들의 현금서비스 수수료 수입비율(연평균 금리)이 1, 2분기에 떨어졌다가 3분기 들어 다시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사의 현금서비스 수수료 폐지·인하로 소비자의 비용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됐지만 결과적으로는 ‘요요 효과’에 그친 셈이다. 현금서비스 수수료 수입비율은 카드사들이 현금서비스로 자금을 굴려 얻은 수입액을 연평균 금리로 환산한 수익률로, 올라가면 현금서비스 수익이 늘어났다는 뜻이다.
9일 여신금융협회 자료를 보면, 신한카드는 지난 4월 초 0.6%의 취급수수료를 폐지하면서 수수료 수입 비율이 1분기 24.38%에서 2분기 21.49%로 낮아졌지만 3분기 들어 21.77%로 올라갔다. 에스시(SC)제일은행은 2분기 24.68%에서 3분기 25.23%로, 같은 기간 씨티은행은 26.30%에서 26.56%로, 경남은행은 24.89%에서 25.19%로 각각 올라갔다. 지난 1월 말 취급수수료를 폐지한 비씨카드도 수수료 수입 비율이 1분기 19.32%에서 2분기 19.65%, 3분기 19.71%로 계속 올라가고 있다. 한 신용카드 업체 관계자는 “카드업계가 최근 수익률 경쟁에 나서면서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을 대상으로 현금수수료 서비스를 제공해 금리가 전반적으로 올라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른 카드사보다 뒤늦은 3분기에 현금서비스 취급수수료를 없앤 삼성·현대·롯데카드 등의 현금서비스 수수료 수입 비율은 1%포인트 안팎 떨어졌다. 삼성카드는 2분기 24.22%에서 3분기 22.58%로, 현대카드는 24.02%에서 22.93%로, 롯데카드는 24.31%에서 23.37%로 낮아졌다.
한편 우리·씨티·경남·대구·광주·전북·농협 등 은행계 카드사 8곳은 여전히 현금서비스 취급수수료를 받고 있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