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개발국 지원대책은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에서는 G20에서 제외된 비회원국의 ‘개발’ 이슈도 주된 관심사다. 그간 G20 정상회의가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한 대응책을 두고 머리를 맞댔다면, 이번 서울회의에선 비회원국의 관심사인 금융 소외층 지원 문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10일 “금융 소외계층 지원 등 금융포용성 의제도 이번 정상회의에서 다뤄지게 된다”며 “마이크로크레디트(무담보 소액대출) 사업 등이 논의 대상”이라고 밝혔다. 마이크로크레디트는 소득이 적거나 신용도가 낮아 일반 금융회사를 이용할 수 없는 계층에 창업자금을 지원해 자활을 돕는 사업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29억명이 제도권 금융에서 소외된 것으로 추산된다. 저개발 국가의 ‘빈곤 탈출’을 위해선 국민들이 종잣돈을 만들어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선순환’ 구조가 시급하고, 이를 위해선 금융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는 공감대가 만들어진 것이다.
지난해 9월 미국 피츠버그 정상회의 이후 G20은 ‘빈곤층과 중소기업 금융서비스 활성화 전문그룹’을 꾸려 다양한 실행 방안을 검토해왔다. 이번 서울회의에선 그간 논의된 내용을 점검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논의하게 된다. 김필규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조정실장은 “G20 회원국과 비회원국이 동반성장을 해나가기 위한 주요 방안으로 다뤄지는 것”이라며 “각 나라의 처지와 빈곤층 실정이 다른 만큼, 서울회의에서는 일단 회원국들의 마이크로크레디트 성공 경험과 구체적인 사례를 공유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회의에선 마이크로크레디트 활성화를 위해 G20 회원국 정부로부터 출연금을 받아 별도 기구를 만들거나, 세계은행의 마이크로크레디트 펀드를 확충·보완하는 방안 등이 다양하게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다.
중소기업 금융 활성화도 주요 논의 대상이다. G20은 이번 서울회의에서 각 나라의 중소기업 금융 성공사례를 분석해 실행계획을 보고할 예정이다. 특히 회원국들의 중소기업 금융 활성화 모범 사례를 공모해 우수한 제안을 시상할 계획이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