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속계약뒤 내부갈등 ‘갈팡질팡’
“6일까지 재무개선약정 응하라”
현대그룹에 또다른 초강수 통보
“6일까지 재무개선약정 응하라”
현대그룹에 또다른 초강수 통보
현대건설 인수전을 진흙탕 싸움으로 끌어내린 책임은 채권단에도 있다. 주요 채권은행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내부 분열과 갈등 양상이 극에 달했고, 예비협상대상자로 밀려난 현대자동차그룹의 예금인출 압박에 두 손을 드는 듯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특히 외환은행과 현대그룹의 양해각서(MOU) 체결 과정에서 드러난 채권단 내부 이견과 현대그룹의 재무적 투자자로 참여한 동양종합금융증권의 투자금에 대한 외환은행과 정책금융공사의 상반된 해석 따위는 이번 현대건설 인수전에서 채권단의 공신력을 떨어뜨린 요인이 됐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2일 “외환은행과 정책금융공사의 처지가 달라 벌어지는 일”이라고 설명한다. 매각주관사를 맡고 있는 외환은행은 이번에 보유지분(8.72%) 전체를 매각하게 되지만, 정책금융공사는 보유지분(11.13%) 가운데 7.8%만 매각할 뿐이다. 즉 외환은행은 손을 털 수 있지만, 정책금융공사는 여전히 3% 넘는 지분을 쥐게 된다. 매각으로 인해 문제가 생길 경우, 국책기관으로서 시장과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도 감수해야 한다.
그러나 채권단이 주요 국면에서 삐걱이면서, 스스로 절차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훼손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인수전의 규칙을 만들어야 할 채권단이 좌충우돌하고 인수전에 뛰어든 기업들의 공세에 이리저리 흔들리면서, 현대건설 인수전을 미궁에 빠뜨린 주범으로 지목되는 것이다. 현대그룹은 강한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정책금융공사와 우리은행이 함께 평가해 (현대그룹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는데, 이제 와서 딴소리를 하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현대그룹과 양해각서를 맺은 외환은행은 현대자동차그룹의 집중 타깃이 됐다. 양해각서 원천무효론부터 거액 예금인출까지 전방위 압박을 받는 상태다. 비판이 거세지자, 채권단은 조만간 운영위원회를 소집해 의견 조율작업을 벌일 예정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결국 보유지분이 가장 많은 정책금융공사 쪽의 의견이 많이 반영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한편 외환은행이 주축이 된 현대그룹 채권단은 “6일까지 재무구조개선 약정 체결에 응하라”는 공문을 현대그룹에 발송했다고 밝혔다. 채권단은 현대그룹이 요구에 응하지 않을 경우 소송 등 후속 조처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그룹에 대한 또 하나의 압박인 셈이다. 이에 대해 현대그룹은 “어떻게 할지 정해진 바 없고, 대응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최혜정 황예랑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