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자금위 “매각 절차 중단”
지방은행도 분리매각 않기로
지방은행도 분리매각 않기로
국내 최대 금융그룹인 우리금융의 정부 지분 매각 작업이 중단됐다.
금융위원회 공적자금위원회(공자위)는 17일 전체회의를 열어 우리금융 매각 보류를 결정했다. 유력한 인수 후보였던 우리금융지주 컨소시엄이 입찰 참여를 포기하면서 정상적인 매각 진행이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민상기 공자위원장은 “매각 주관사가 시장 상황을 점검한 결과, 현재의 시장 여건에서는 (정부가) 의도한 유효경쟁을 통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등을 이루기 어렵다”며 “입찰을 형식적으로 진행해 시장에 불확실성과 불필요한 비용을 발생시키는 것보다는 현재까지의 시장 테스트를 토대로 더욱 건설적인 대안을 논의하는 것이 민영화 대의에 부합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공자위가 지난달 26일 우리금융지주 입찰참가의향서 접수를 마감한 결과, 우리금융지주 컨소시엄 3곳을 비롯해 보고인베스트먼트와 어피니티 등 국내외 사모펀드 5곳, 매쿼리 등 외국 금융회사 3곳 등 모두 11곳이 의향서를 냈다. 그러나 공자위는 이 가운데 인수 능력과 자격을 갖춘 후보가 없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우리금융과 별도로 입찰참가의향서를 받았던 광주은행과 경남은행도 분리매각하지 않기로 했다. 민 위원장은 “지주사에 대한 유효경쟁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자회사인 지방은행만 인수하려는 이들의 가격 제안만 보고는 ‘회수 극대화’ 여부를 비교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공자위는 이른 시일 안에 새로운 민영화 틀을 논의할 방침이다. 민 위원장은 “정부 보유 지분을 민간에게 일시에 넘기는 민영화가 현재 여건에서 어렵다면, 민영화 정신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다른 매각 방법을 논의해 추진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자위는 블록세일(지분 일괄매각)과 수의계약 등 모든 가능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 이후 10년 만에 추진된 매각 절차가 무산되면서 우리금융 민영화는 ‘장기 표류’가 불가피해졌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