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은행·신용협동기구 가계대출 증가율
이병윤 금융연 연구위원
“금리인상시 부실화 우려”
“금리인상시 부실화 우려”
농협·수협 단위조합과 신협, 새마을금고 등 신용협동기구의 가계대출이 급증하고 있고, 부실위험도 커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병윤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8일 ‘신용협동기구의 가계대출 현황과 문제점’ 보고서에서 “최근 몇년 새 신용협동기구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은행 가계대출 증가율을 크게 웃돌았고, 올해 들어서는 증가 규모도 은행 가계대출을 넘어설 정도”라고 밝혔다. 보고서를 보면, 올해 9월 말 현재 예금은행 가계대출잔액은 422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4.3%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신용협동기구의 가계대출 잔액은 146조9000억원으로 증가율이 17.6%에 이르렀다. 같은 기간 신용협동기구의 가계대출 순증액은 14조7000억원으로, 예금은행의 증가폭(13조1000억원)을 넘어섰다.
이처럼 신용협동기구의 가계대출이 많이 증가한 것은 예금은행보다 대출 규제가 약한데다, 비과세예금 한도가 2000만원에서 3000만원으로 확대됨에 따라 신용협동기구로 예금이 몰리면서 대출도 따라 늘어난 때문으로 분석된다. 현재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의 담보인정비율(LTV)은 예금은행이 50%, 신용협동기구는 60%다.
이 연구위원은 “신용협동기구의 대출이 주로 저신용·저소득계층에 집중돼 있기 때문에 향후 경기 둔화나 금리 인상 시 신용협동기구의 부실뿐 아니라 저소득계층을 중심으로 가계부실도 확대될 우려가 있으므로 금융감독당국의 모니터링 강화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