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후계자 양성제’ 지시
앞으로 시중은행들은 자체적인 최고경영자(CEO) 양성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이를 공시해야 한다.
금융감독원은 30일 은행의 ‘시이오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은행별로 후계자 프로그램을 만들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후계구도를 둘러싸고 최고경영진 사이에 내분이 벌어진 이른바 ‘신한 사태’ 같은 일들이 재발하는 것을 막겠다는 취지다. 금감원 관계자는 “신한 사태는 경영진의 문제가 은행 전반을 뒤흔들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라며 “은행이 자율적으로 후계자 양성 시스템을 만들어, 충분한 자격과 자질을 가진 시이오가 선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이를 위해 올 초 시중은행에 통보한 ‘은행권 성과보상체계 모범규준’을 근거로 삼기로 했다. 모범 규준에는 “은행은 장기적인 경쟁력을 높이도록, 실효성 있고 체계적인 경영진 후계자 양성 프로그램을 도입·운영해야 한다”는 조항이 포함돼있다.
애초 금융회사의 자율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지만, ‘시이오 리스크’에 대한 문제의식이 확산하면서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쪽으로 선회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은 모범규준 이행 정도를 점검해 경영실태 평가에 반영할 계획이다. 은행들은 후계 양성 계획과 이사회 구성 등의 내용을 담은 ‘지배구조 내부규범’을 이르면 내년 5월 은행연합회 누리집을 통해 공개해야 한다. 지난달 개정된 은행법 시행령은 은행들이 지배구조 내부규범을 도입해 투명성을 확보하도록 했다. 은행연합회와 시중은행들은 이를 위해 각 은행 내부규범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배구조 모범규준 검토 작업에 착수한 상태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쥐식빵 제보자 “약간 타격만 주려했는데…”
■ 선동열, 계약 기간 4년이나 남았는데 돌연 퇴진…사실상 해고?
■ ‘4대강 로봇물고기’ 두손 든 환경부
■ ‘사무관 승진에 5천만원’ 풍문 빈말 아니었네
■ 연평주민 도운 ‘찜질방 돕기’ 후끈
■ ‘MB정권과 맞짱’뜨는 천정배 “폭압정권 투쟁은 나의 사명”
■ ‘강남 클럽 흰 티녀’ 메일
■ 선동열, 계약 기간 4년이나 남았는데 돌연 퇴진…사실상 해고?
■ ‘4대강 로봇물고기’ 두손 든 환경부
■ ‘사무관 승진에 5천만원’ 풍문 빈말 아니었네
■ 연평주민 도운 ‘찜질방 돕기’ 후끈
■ ‘MB정권과 맞짱’뜨는 천정배 “폭압정권 투쟁은 나의 사명”
■ ‘강남 클럽 흰 티녀’ 메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